
해군 창설의 원로인 손원일(孫元一)과 정긍모(鄭兢謨)는 1945년 8월 21일 군사단체인 해사대(海事隊)를 조직하였다. 해사대는 미 군정하에서 일시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 가담하였으나, 해안경비와 해양발전에 목표를 두고 순수한 군사단체 편성에…
해군 창설의 원로인 손원일(孫元一)과 정긍모(鄭兢謨)는 1945년 8월 21일 군사단체인 해사대(海事隊)를 조직하였다. 해사대는 미 군정하에서 일시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 가담하였으나, 해안경비와 해양발전에 목표를 두고 순수한 군사단체 편성에…
조선경비대총사령부는 최초 당시에는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부였다가 조선국방경비대가 조선경비대로 바뀜에 따라 조선경비대사령부로 개칭되었다. 경비대총사령부에는 총사령관과 총참모장이 있고, 그 밑에 참모부가 있었다. 참모부로는 최초 고급부관실․인사과․정보과․작전과․보급조달과 등 과(課)로…
뱀부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경비대 창설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최초 명칭은 조선경찰예비대(Korean Constabulary Reserve)였으나, 한국의 입장에서는 국군의 모체라는 의미에서 조선경비대(朝鮮警備隊)라고 불렀다. 조선경비대창설이 시작되면서 광복 이후…
조선경비대(朝鮮警備隊)는 대한민국 육군의 전신으로 최초 창설의 목적은 국립경찰의 보조였다. 조선경비대의 명칭도 최초에는 남조선국방경비대(南朝鮮國防警備隊)였다가 미 · 소공동위원회에서 소련측 대표가 국방이라는 용어 사용에 항의하자, 국방부를 통위부로…
통위부(DIS : Department of Interior Security)는 미 군정기에 설치된 조선경비대와 조선해안경비대를 통할(統轄)하는 국방에 관한 최고 군사기구였다. 통위부는 미 군정청의 중앙행정부서로서 국방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주한미군정청(駐韓美軍政廳)은 1945년 9월 9일 조선총독(朝鮮總督)과 주조선일본군사령관(駐朝鮮日本軍司令官)으로부터 항복을 받고, 1945년 9월 7일 미 태평양 육군사령부 포고 제1호에 따라 남한에 대한 통치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최초 미…
육군항공사관학교(陸軍航空士官學校)는 1949년 10월 1일 발족한 공군사관학교의 전신이다. 1948년 12월 1일 육군항공부대가 육군항공사령부로 정식 개편되자, 1949년 1월 14일 육군항공사관학교를 김포에 설치하게 되었다. 육군항공사관학교 창설에 따라…
해군병학교(海軍兵學校)는 미 군정기 해군의 간부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군사학교로서 정부 수립이후 대한민국 해군 장교 양성의 요람지인 해군사관학교(海軍士官學校)의 전신이다. 해군병학교(海軍兵學校)는 1946년 1월 17일 해군의 장교양성을…
조선경비사관학교(朝鮮警備士官學校)는 1946년 4월 30일 군사영어학교가 폐교된 후 1946년 5월 1일 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태릉에 설치한 사관학교이다. 조선경비사관학교의 당시 명칭은 남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Korean Constabulary Academy)였다. 그러나 1946년…
군사영어학교(MLS : Military Language School)는 경비대 창설을 앞두고 미 군정청이 군 간부요원을 확보하고, 통역관을 양성하기 위해 설치한 군사학교였다. 미군정청의 군사담당 기구의 책임자인 국방사령부의 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