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의 개별적인 사건이나 사실에 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추상적 · 일반적으로 규정된 법규의 의미와 내용을 명백히 확정하는 것을 말한다. • 법의 해석 방법…
• 의의 개별적인 사건이나 사실에 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추상적 · 일반적으로 규정된 법규의 의미와 내용을 명백히 확정하는 것을 말한다. • 법의 해석 방법…
법이 불확정적인 개념이나 근본적으로 규범적인 개념, 혹은 재량적 판단을 허용하는 개념 등을 포함하고 있어 그것의 적용 법문의 가능한 의미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가…
어떠한 사실이 확정되면 그 사실에 적용할 발견해야 하고, 법을 발견하려면 법의 의미내용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를 법의 발견이라고 한다.
• 고유법 법의 내용이 적용되는 사회 자체에서 처음부터 형성된 법이다. • 계수법 법의 내용이 다른 곳에서 형성되어 저용되던 것을 받아들인 법이다. 우리 법은 일본의…
• 강행법 당사자의 의사를 불문하고 적용되는 법이다. • 임의법 당사자가 규정과 다른 의사표시를 한 경우에 그 법의 규정을 배제할 수 있는 법이다. …
• 실체법 권리 및 의무의 성질, 범위, 발생, 변경, 소멸 등을 규율하는 법이다. 헌법, 민법, 형법, 상법 등이 여기에 속한다. • 절차법 권리 및…
법의 효력범위가 일반적 · 보편적 사항에 대한 것인지 아니면 특수한 사항에 대한 것인지를 기준으로 일반법과 특별법으로 나누어진다. 특별법은 일반법보다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 일반법…
• 공법 – 국가의 조직과 그 기능 및 공공봉사에 관한 법을 말한다. – 공법에는 헌법, 행정법, 형법, 형사소송법, 민사소송법, 부동산등기법 등이 대표적이다. • 사법…
• 국내법 한 국가에 의하여 인정되어 그 국가에 적용되는, 국가와 국민 또는 국민 상호 간의 권리 · 의무관계를 규정하는 법이다. • 국제법 국제사회에서…
• 자연법(natural law) 실정법(實定法) 또는 인정법(human law)에 대비되는 법 개념이다. 실정법이 민족이나 사회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는 것에 비해, 민족 사회 시대를 초월해 영구 불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