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국방/외교

육군 일등중사 강호선
By 0

소속: 육군 제2사단 제31연대 계급: 일등중사 군번: 0229638 성명: 강호선 (姜浩善) 강호선 일등중사는 1930년 7월 23일 서울시 중구 충무로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2사단 제31연대에서…

육군 이등중사 강호열
By 0

소속: 육군 제8사단 계급: 이등중사 군번: 2502798 성명: 강호열 (姜鎬烈) 강호열 이등중사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동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8사단에서 복무하였다. 제8사단은 강릉지구 38도선경비임무와 지역내…

육군 이등중사 강호원
By 0

소속: 육군 제1사단 제12연대 계급: 이등중사 군번: 0642939 성명: 강호원 강호원 이등중사는 1925년 3월 10일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1사단 제12연대에서 복무하였다. 제1사단은 1949년 5월…

육군 이등상사 강호중
By 0

소속: 육군 제9사단 제30연대 계급: 이등상사 군번: 1120283 성명: 강호중 (姜浩中) 강호중 이등상사는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면에서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9사단 제30연대에서 복무하였다. 제9사단은 1950년…

육군 이등중사 강호천
By 0

소속: 육군 제6사단 계급: 이등중사 군번: 1205709 성명: 강호천 (姜浩天) 강호천 이등중사는 1926년 8월 6일 태어나 육군에 입대하여 제6사단에서 복무하였다. 제6사단은 1949년 5월 12일…

치안대와 적위대
By 0

해방 직후 북한에는 치안유지를 자처하면서 자생적인 무장단체들이 조직되었다. 즉, 민족주의 계열의 ‘자위대’(自衛隊), 국내파 공산주의자들이 조직한 ‘치안대’(治安隊), 소련군 진주 후 각 도청 소재지 중심으로 결성…

북한의 남침 계획지지
By 0

중국의 전통적인 방어전략을 이어받아서 모택동은 “타국이 침범하지 않으면, 이를 치지 않고, 타국이 침범하면 반드시 친다(人不犯我, 我不犯人, 人若犯我, 我必犯人)”는 방어전략을 기본 방침으로 정하였다. 또한, 중국…

군사교류와 조선의용군 입북 경위
By 0

중국은 그 어느 나라보다도 한국과 오랜 역사를 거쳐서 지리적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일제시기에도 좌우익세력을 포함한 한국의 독립운동세력은 중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고…

중공의 동북아 전략과 한반도 인식
By 0

1949년 10월 2일, 소련은 중국정부 승인을 발표하고, 광동(廣東)에 있는 국민당 정부와의 외교관계를 단절하고 중화인민공화국정부와 대사를 교환하기로 결정하였다. 국민당 정부는 소련과의 외교관계를 단절할 것을 결의하였다.…

내전과 중공정권의 수립
By 0

제2차 세계대전 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중국문제는 아시아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미국은 극동에서 소련의 팽창을 막기 위하여 중국을 세계 4대강국의 위치로 끌어올려 전후 아시아의 세력균형을…

1 16 17 18 19 2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