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6·25전쟁사

도서방위전략과 극동방위선
By 0

미국이 극동방위를 위해 채택한 도서방위전략(off-shore defensive perimeter strategy)은 알류산열도에서 일본⋅필리핀을 연결하는 도서방위선(島嶼防衛線)상의 도서들이 제공하는 해⋅공군기지를 활용하여 전략공군과 핵무기로 전쟁을 수행해 나간다는 개념이다. 미국의 극동군은…

핵무기 의존전략
By 0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 공산주의 팽창에 맞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보호하기 위해 대소 봉쇄정책을 택하였다. 공산주의 확장을 막기 위한 봉쇄정책은 트루만 독트린과 마샬 플랜,…

소련의 팽창과 봉쇄정책 수립
By 0

① 봉쇄정책 수립 배경 제2차 세계대전은 전쟁 이전 세계 강대국이었던 독일⋅이탈리아⋅일본을 포함하여 전승국이었던 영국과 프랑스를 ‘2등 국가(a power of second rank)’로 전락시키는 등 새로운…

국가 안보체제 개편과 통수체계
By 0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은 건군의 기틀을 마련해 가는 과정에서 국방체제의 모델로 1947년 미국의 국가안전보장법(National Security Act)과 1949년의 개정법에 나타난 국방기구를 대부분 반영하여 수용하고…

동원체제 해제와 군사력 감축
By 0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신속히 단행되었던 동원해제와 국방비의 대폭 감축은 결과적으로 1949년 주한미군의 철수를 불러왔고, 이는 소련의 사주를 받은 북한 김일성(金日成)으로 하여금 6⋅25전쟁을 일으키게…

공산정권의 수립
By 0

1946년 여름에 이르러 신탁통치를 거쳐 한반도에 단일 국가를 건설한다는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이 실현될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지게 되자 소련 정부는 38도선 이북에 공산주의자를 내세운 단독…

김일성의 등장과 인민위원회
By 0

광복 직후 북한에서 군정을 시작할 때 각 지방 소재 소련군정 대표들은 위수사령관들이었으나 이들 대다수는 순수한 군인들이었기 때문에 경험이나 준비 상태의 측면에서 정치․경제 문제의 처리에…

초기 공산주의 세력의 성장
By 0

일본군이 항복하고 소련군이 진주할 때 북한지역에서는 다수의 자치단체들이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었다.(자위대, 보안대, 치안유지위원회, 건국준비위원회지부 등의 이름으로 결성된 단체들이었다.) 이들 단체들은 주로 광복 직후 권력…

정부수립 후 국내정세 — 경제 정세
By 0

미 군정기간의 경제는 침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해 산업생산력이 80%까지 감축되었다. 예컨대, 탄광은 실질적으로 휴면상태였으며, 어업은 해방 당시 일본인이 가져갈 수 있는 모든 선박과 어구를 가져갔으므로…

정부수립 후 국내정세 — 정치⋅사회 정세
By 0

이승만 정부는 신생 국가의 기틀을 확고히 하여 민주주의 발전, 민생안정, 경제건설 등과 남북통일의 과제가 부과되었다. 그러나 남한 내 좌익이 무장투쟁을 전개했고 북한이 38선 충돌을…

1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