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6·25전쟁사

공군본부 설치
By 0

1948년 11월 30일 국군조직법이 공포된 다음날인 12월 1일 조선경비대 항공기지사령부는 12월 1일부로 대한민국 육군항공사령부(陸軍航空司令部)로 개칭되었다. 육군항공사령부는 항공사령부(본부 및 본부중대), 항공기지부대, 항공(군)비행부대, 그리고 항공사관학교로 편성되었다.…

해군 교육훈련
By 0

해군은 해군사관학교에서의 장교 양성 과정 외에 장교, 하사관 및 병에 대한 양성 및 보충교육을 실시했다. 해안경비대는 실전의 경험이 있는 하사관을 선발하여 사관후보생 교육을 실시하는…

해군 부대 증편
By 0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해안경비대에서 해군으로 독립한 해군부대들은 각종 법적 근거를 통해 설치되었다. 여기에는 1949년 5월 5일 공포된 해군사관학교령(대통령령 제87호)을 비롯하여 해병대령(대통령령 제88호), 5월…

해군본부 설치
By 0

정부수립과 동시에 조선해안경비대는 대한민국 해군으로 발족하여 해안경비와 해상수호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한 체제정비를 단행하였다. 해안경비대가 해군으로 재출발한 법적 근거는 육군과 마찬가지로 국군조직법에 규정되어 있다. 해군의…

육군 교육훈련
By 0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남․북한간의 군사관계는 1949년 전반기를 넘어서서 38도 선상에서의 무력충돌에 의한 국지도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었다. 국군은 정규군으로 편성된 8개 사단 중에서 무기와…

육군 부대 증편
By 0

육군의 조직 및 편성에 대한 법적 근거는 국군조직법 제3장 에 규정되어 있다. 육군은 정규군과 호국군(護國軍)으로 이루어지는데, 육군 정규군은 전 · 평시를 막론하고 법률에 의하여…

육군본부 설치
By 0

대한민국 육군은 미 군정하 조선경비대가 1948년 11월 30일 공포된 국군조직법에 따라 발족되었다. 정부조직법 에 따라 정부의 11개 부서가 구성될 때 국방부가 설치되었고, 8월 15일…

국방 목표와 방향
By 0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국방부는 건군(建軍)의 이념적 토대로 대한민국 헌법전문에 나타난 자유민주주의, 국제평화주의, 자주독립정신, 의병․독립군․광복군의 민족 항쟁정신, 그리고 반공정신을 근간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이범석…

국방조직의 편성과 국방부 본부
By 0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헌법 제75조에 근거를 둔 정부조직법이 공포되자 이에 따라 국무원과 행정부가 조직되었다. 국방부는 정부조직법 제14조에 의하여 설치되었는데, 국방부장관의 직무는…

국방관계 법령 제정
By 0

국방부는 1948년 7월 17일 정부조직법에 의해 설치되었지만, 실제로 국방부장관 취임식은 정부수립 다음날인 8월 16일 조선경비대사령부 영내에서 거행되었다. 또한 이날 통위부 건물에서 국방부 업무에 대한…

1 2 3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