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6·25전쟁사

광복 후 제주도의 정치 · 경제 · 사회 상황
By 0

조선총독부는 항복선언 직전에 패전 후의 치안문제와 정치범 석방, 일본인의 보호를 위하여 한국내 지도급 인사들과의 접촉을 시도하였다. 그 접촉 대상 인물로는 중도 좌파 성향의 여운형(呂運亨),…

영암 군경 충돌사건
By 0

영암 군경 충돌사건은 1947년 6월 3일 전남 영암에서 국방경비대 제4연대 제1대대와 영암 경찰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 사건이었다. 광주 주둔 제4연대는 창설 초기부터 대원들의 자질…

제2연대 부정사건
By 0

대전 주둔 제2연대의 공금횡령과 보급품 부정처분 사건은 남로당의 인민혁명군사건과 더불어 남로당의 군내 활동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연대장이 직접 관여한 이 사건은 광복군계와 일본군계의…

경비사관학교 생도대장 폭행사건
By 0

경비사관학교 생도대장 폭행사건은 1946년 12월 4일 밤에 생도대장이면서 경비사관학교 교장 대리를 겸하고 있던 이치업(李致業) 대위가 자신의 숙소에서 취침 중 사관후보생들로부터 집단 구타를 당해 의식불명에…

제1연대 제1대대 소요사건
By 0

제1연대 제1대대 소요사건은 1946년 5월 23일 제1연대 제1대대 사병들이 연병장에 모여 데모를 일으킨 사건이었다. 사건의 직접적인 원인은 영등포 보급중대에서 차량 2대 분량의 보급품을 부정처분한…

남로당의 군내 침투
By 0

광복 직후 좌익세력은 조선국군준비대(朝鮮國軍準備隊)와 조선학병동맹(朝鮮學兵同盟) 등을 통해 자체의 무력을 갖고자 하였다. 그러나 1945년 11월 13일 미군정청내에 국방사령부(國防司令部)가 설치되고 1946년 1월 15일 국방사령부 예하에 국방경비대(國防警備隊)가…

청년방위대의 설치와 편성
By 0

청년방위대(靑年防衛隊)는 1949년 8월 6일 병역법이 법률 제49호로 공포되고, 이에 따라 동년 8월 31일 호국군이 해체되자 당시 긴박한 국내정세에 비추어 민병 20만명의 편성을 역설한 이승만…

호국군의 창설과 편성
By 0

호국군(護國軍)은 주한미군의 철수에 대비하기 위해 1948년 11월 30일 창설되었다가 1949년 8월 31일 해체된 예비군(豫備軍)이었다. 정부 수립 이후 주한미군 철수가 미국의 정책으로 결정되자 이범석 국방장관은…

해병대
By 0

해병대 창설 시도는 1948년 10월 19일 여순지역에서 발생한 반란사건에 출동했던 해군 임시정대의 실전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여․순작전에 참가했던 이상규 소령은 손원일 해군총참모장에게 보고한 작전결과보고서에서 육전대(陸戰隊)의 필요성을…

공군 부대 증편
By 0

공군의 독립이 이루어지면서 예하 부대의 개편도 이루어졌다. 이미 설치된 육군항공사관학교는 공군사관학교(空軍士官學校)로, 육군항공비행부대는 공군비행단(飛行團)으로, 육군항공기지부대는 항공기지사령부(航空基地司令部)로 개칭되었고, 여자항공교육대는 여자항공대(女子航空隊)로 개편되었다. 육군항공사령부의 의무처는 공군병원으로 개칭되었으며, 육군항공사령부…

1 2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