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리나멘(clinamen)
클리나멘(clinamen) 에피쿠로스의 우발성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최대한도로 작은 편차 혹은 기울어짐’을 의미한다. 에피쿠로스학파에…
클리나멘(clinamen) 에피쿠로스의 우발성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최대한도로 작은 편차 혹은 기울어짐’을 의미한다. 에피쿠로스학파에…
쾌락원리(Lustprinzip, pleasure principle)/현실원리(Realitätsprinzip, reality principle) 인간을 다른 생명체와 구별되는 독특한 존재로 보지 않았던 프로이트의…
쾌락(hēdonē, pleasure)/쾌락주의(hedonism) 헬레니즘 시대 에피쿠로스학파는 개치의 쾌락을 긍정했기 때문에, 쾌락주의를 표방했다고 이해된다. 유한자로서 개체는…
코뮤니즘(communism) 맑스가 꿈꾸었던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가리킨다. 맑스는 자신의 이념이 “각자의 자유로운 발전이 모든…
코나투스(conatus) 스피노자에 따르면 모든 사물들의 현실적 본질로서 존재를 지속하려는 힘을 가리킨다. 자신의 코나투스를 확인하려면…
코기토(Cogito) 인간 바깥의 존재보다 인간의 마음에 관심을 시울였던 근대철학자 데카르트가 발견했던 사유 주체를 말한다.…
충동(appetitus, appetite) → 의지/충동/욕망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910.
초자아(Über-Ich, super-ego) → 이드/자아/초자아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910.
초월성(transcendence) 내재성(immanence)의 반대편에 있는 개념이다. 내재주의가 만물과 사건들의 변화와 생성을 세계 내적인 연결과 마주침으로…
초월론적 경험론(transcendental empiricism)/초월론적 관념론(transcendental idealism) ‘초월론적’이란 용어는 어떤 주어진 것의 조건을 비판적으로 음미하는 태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