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체적 자연관(organic nature view) By jhey2025년 05월 13일 0 유기체적 자연관(organic nature view) → 기계론적 자연관/유기체적 자연관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원인(aitios)/원인론(aitilogy) By jhey2025년 05월 13일 0 원인(aitios)/원인론(sitilogy) 고대 그리스철학의 특징 중 하나는 사물이나 세계가 존재하는 원인을 발견하려는 의지라고 할 수…
우주발생론(cosmogony) By jhey2025년 05월 13일 0 우주발생론(cosmogony) 우주와 세계의 발생 과정에 주목했던 근대 이전에 중시되었던 학문 분과이다. 우주발생론에는 전체와 개체…
우발성(contingency) By jhey2025년 05월 12일 0 우발성(contingency) 접촉(contact)을 의미하는 라틴어 ‘contingere’에서 유래한 말로서 독립적인 두 가지 인과 계열들이 마주쳤을 때…
욕구(need)/욕망(desire) By jhey2025년 05월 12일 0 욕구(need)/욕망(desire) 라캉은 욕구나 욕망은 모두 결여를 전제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에 따르면 자신이 목적으로 했던…
왕권신수설(王權神授說, Divine Right of Kings) By jhey2025년 05월 12일 0 왕권신수설(王權神授說, Divine Right of Kings) 로버트 팔머가 자신의 주저 『가부장권력론』에서 피력했던 왕권 정당화 이론이다.…
오행(五行) By jhey2025년 05월 12일 0 오행(五行) 중국 전국시대 추연(鄒衍)이란 역사철학자가 역사 발전을 흙[土], 나무[木], 쇠[金], 불[火], 물[水]의 다섯 가지…
역사철학(philosophy of history) By jhey2025년 02월 04일 0 역사철학(philosophy of history) 역사의 진행과 그 방향에 함축되어 숨겨져 있는 논리나 동력을 추적하거나, 인간에게…
여래장(如來藏, Tahāgatagarbha) By jhey2025년 02월 04일 0 여래장(如來藏, Tahāgatagarbha) 여래, 즉 부처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불성(佛性)과 거의 동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