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fedipine 경구제(품명: 아달라트오로스정30 등)
분류 고시
관련근거 고시 제2025-102호(약제)
게시일 2025-07-01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투여 시 요양급여 함을 원칙으로 하며, 허가사항 범위를 초과하여 투여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요양급여를 인정함.
– 아 래 –
1. 조기 진통(가진통)
가. 투여대상: 임신 24주에서 36주 사이에 자궁 수축이 있고 조산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나. 용법·용량
○ 10-30mg 투여 후 자궁수축억제 정도에 따라 10-20mg을 4-8시간마다 또는 1일 용량으로 30-120mg 투여
다. 저혈압 임신부에는 주의하여 투여하여야 함.
2. 레이노 현상(레이노병 및 레이노 증후군)
가. 투여대상: 예방조치 및 생활습관변화 등으로 조절되지 않는 레이노 현상
나. 용법·용량
○ 낮은 용량의 서방형 제제로 시작하여 1일 최대 60mg 투여 가능
다. 어지러움, 저혈압, 두통, 홍조, 빈맥, 말초부종 여부를 주의하여 투여하여야 함.
■ 관련근거
· Harrison’s Principle of Internal Medicine, 21e(2022)
· Current Medical Diagnosis & Treatment (2025)
·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Rheumatology, 4e(2021)
· Rutherford’s Vascular Surgery and Endovascular Therapy, 2-Volume Set, Tenth Edition(2023)
· ESVM guidelines ?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Raynaud’s phenomenon(2017)
· Kowal-Bielecka O, et al. Update of EULAR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Ann Rheum DIS. 2017 Aug;76(8):1327-1339.
· Management of Raynaud’s Phenomenon. Fife Rheumatic Diseases Unit. Aug 2019
· Rirash F, et al. Calcium channel blockers for primary and secondary Raynaud’s phenomenon (Review). Cochrane Database of Syst Rev. 2017 Dec 13;12(12):CD000467.
· Ennis H, et al. Calcium channel blockers for primary Raynaud’s phenomenon (Review). Cochrane Database of Syst Rev. 2016 Feb 25;2(2):CD002069
· Khouri C, et al. Comparative efficacy and safety of treatments for secondary Raynaud’s phenomenon: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The Lancet Rheumatology. 2019 Dec;237-246
· Wigley FM et al. Raynaud’s phenomen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6; 375:55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