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en on the Brain as the Seat of the Rational Soul
뇌, 이성적 영혼의 자리: 갈레노스의 이론 고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Galen’s theory of the brain as the seat of the rational soul. Galen, a philosopher-physician, claims that the brain, not the heart, is the central organ of the human body, in which the mind is located, on the basis of anatomical observations and physiological theories. With this, he enters a long-standing philosophical debate about the question of whether and where the mind is to be located. Interestingly, he believes that he is defending Plato’s position against Aristotelian and Stoic theory of the heart as the seat of the mind. In this paper, I discuss his main arguments and presuppositions for his Platonic position, while highlighting some features of Galen’s reception of Plato’s philosophy.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Galen’s attitude to the Platonic doctrine of the incorporeality of the rational soul. In scholarship it has been suggested that Galen espouses the anti-Platonic conception of the rational soul as a sort of mixture in the body. I raise some objections to this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I show that Galen cannot help but be agnostic on the substance of the rational soul, given the empirical limits of scientific psychology as he conceives it.

본 논문의 목적은 뇌가 이성적 영혼의 자리라는 갈레노스의 이론을 고찰하는 것이다. 의사-철학자 갈레노스는 해부학적 관찰과 생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심장이 아니라 뇌가 이성적 영혼, 즉 마음이 위치한 신체의 중심 기관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그는 마음의 자리를 둘러싼 오랜 철학적 논쟁에 가담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토아의 심주설에 맞서 플라톤의 뇌주설을 옹호한다. 본 논문에서는 갈레노스의 주요 논변과 전제들을 검토하고, 아울러 그가 플라톤 철학의 수용에서 보이는 특징을 드러내고자 한다. 특히, 이성적 영혼이 물체가 아니라는 플라톤의 학설에 대한 갈레노스의 입장에 주목한다. 학계에서는 갈레노스가 이성적 영혼을 특수한 의미에서 신체의 혼합으로 간주하는 반-플라톤주의 관념을 옹호한다는 해석이 제시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고 반론을 전개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갈레노스가 구상한 과학적 심리학의 경험적 한계를 고려할 때, 이성적 영혼의 실체에 대해 불가지론적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었음을 주장한다.

한국철학회, 경희대학교 송유레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