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ability, Options, and Well-Being : Does Losing Options Reduce Well-being?
장애, 선택지, 복지 : 선택지 감소는 복지를 저하시키는가?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claim that the reduction of options due to disability is likely to decrease the well-being of affected individuals. It introduces a challenge–overcoming mechanism, grounded in an axiological perspective that values the exercise of agential capacities. This paper argues that while reduced options may introduce new difficulties, successfully overcoming them can enhance the prudential value of achievements. Building on this, it develops a challenge–overcoming interpretation of the sufficiency insight, which holds that if sufficient options remain, then the value gained through overcoming challenges can outweigh the disadvantages. This interpretation is used to respond to a criticism of the sufficiency insight and to challenge T. Crawley’s options argument.
본 논문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없더라도, 장애로 인해 선택지가 제한 될 경우 해당 장애인의 복지가 감소할 수 있다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 한다. 먼저, 본 논문은 행위 주체의 능력 발휘를 중시하는 가치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도전–극복 기제’를 제시한다. 장애로 인해 선택지가 줄어들면 새로운 어려움이 발생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을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과정은 성취 결과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논증한다. 이어서 본 논문은 도전–극 복 기제를 중심으로 충분성 통찰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안한다. 즉, 어려 움이 압도적이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선택지가 남아있다면, 극복 과정에서 창출된 가치가 선택지 감소로 인한 불이익을 상쇄할 수 있고, 그 결과 복지 감소의 가능성은 줄어든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T. Crawley의 선택지 논증, 즉 선택지 감소로 인한 불이익이 그로 인해 얻는 이익보다 클 것이라는 주장을 도전–극복 해석을 통해 반박한다.
서경대학교 철학연구소
인하대학교 최동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