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펜서의 과학 예찬에 대한 피터즈의 논평 고찰 Peters’s Comments on Spencer’s Conviction of the Omnipresence of Science 현상익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철학연구 2024, vol.46, no.2, 통권…
스펜서의 과학 예찬에 대한 피터즈의 논평 고찰 Peters’s Comments on Spencer’s Conviction of the Omnipresence of Science 현상익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철학연구 2024, vol.46, no.2, 통권…
학교 훈육에서 ‘교사 개입’의 교육적 정당화 재고:교사 개입과 학생 자유 간의 대립을 넘어서 Towards a Justification of Teacher Intervention in School Discipline:Beyond the Teacher…
학습의 ‘주권성(sovereignty)’에 대한 철학적 탐색:레비나스의 ‘불면’과 ‘노동’ 개념을 중심으로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Sovereignty” of Learning:Focusing on Levinas’ Concepts of “Insomnia” and “Labor” 김태영…
루소에게서 『에밀』과 『폴란드정부론』간의 거리 The Distance Between Rousseau’s Émile and Considerations on the Government of Poland 김영희 두룡초등학교 박찬영 진주교육대학교 교육철학연구 2024, vol.46, no.3,…
교육활동의 고유한 가치의 관점에서 ‘교사-정체성’ 개념 탐구: 교사-전문성 및 교사-행위자성 개념과의 관련 속에서 A Study on the Concept of “Teacher-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관례의 본질적 의미와 교육적 의의 탐구:고대 그리스 사상의 ‘노모스’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sential Meaning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nvention: Focusing on…
다문화교육의 정치성: 스탠리 카벨과 자기지식에 대한 물음 The Politic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tanley Cavell and the Question of Self-knowledge 이소영 부산대학교 교육철학연구 2024, vol.46,…
전통의 합리성과 교사의 권위:오우크쇼트 전통 개념에 비추어 본 교육과 교육철학 The Rationality of Tradition: an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Philosophy by…
메리토크라시(meritocracy) 교육에 대한 스피노자(B. Spinoza)의 비판적 대응 Spinoza’s critique of meritocracy in education 조나영 인하대학교 교육철학연구 2024, vol.46, no.3, 통권 105호 pp. 581-602 (22…
화이트헤드의 교육의 리듬에 나타난 교육의 원리:자유와 규율의 율동적 운동을 통한 품격의 획득 The Acquisition of Style through a Rhythmic Movement of Freedom and Discip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