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헤드의 『관념의 모험』에 나타난 문명화 과정에 비추어 본 교과교육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Education in Light of the Civilization Process Shown in…
화이트헤드의 『관념의 모험』에 나타난 문명화 과정에 비추어 본 교과교육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Education in Light of the Civilization Process Shown in…
국제 바칼로레아 프로그램의 교육적 고찰 – 핵심통찰력을 중심으로 – Educational Review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ogramme – Focusing on Key Insight – 김서경 고려대학교…
듀이 철학에서 ‘놀이’의 의미: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육철학적 탐구 The Meaning of ‘Play’ in Dewey’s Philosophy: A Philosophical Exploration in Education for the…
교육학의 근본적 학제성과 상대적 자율성: 비판적 실재론의 접근 Fundamental Interdisciplinarity and Relative Autonomy of Educational Research: A Critical Realist Approach 곽태진 고려대학교 교육철학연구 2024,…
학생의 개별성과 교육과정의 공공성 간의 관계 재탐색: ‘학생 목소리’의 새로운 해석을 찾아서 The Singularity of the Student and the Publicness of the Curriculum: Towards…
‘교사-정체성(Teacher Identity)’ 담론을 위한 철학적 고찰: 역량 중심 교사교육을 넘어서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Discourse of Teacher-Identity: Beyond the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 곽덕주 서울대학교…
기후위기 시대의 탈성장과 사회적경제교육: 사이토의 논의를 중심으로 Degrowth and social economy education in the Age of Climate Crisis: Focusing on Kohei Saito’s Ecosocialism 최승현…
미적 경험을 통한 신체의식 전환의 교육적 함의: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중심으로 Educational Implications of Body Consciousness Conversion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Focus on Pragmatist Aesthetics 정웅 전남대학교…
교사 개인이 아닌 학교공동체가 지는 교육적 책임: 듀이의 개인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Not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 teachers, but the responsibility of school communities: Dewey’s…
디지털 시대 창의성과 비판적 성찰 능력의 구체적인 의미와 사례 검토:포스트 디지털 개념의 교육학적 시사점 고찰을 중심으로 Specific Meaning and Examples of Creativity and Cri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