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와 공동선 St. Augustine and Common Good 하재홍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389-445 (57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현대 사회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공동선 St. Augustine and Common Good 하재홍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389-445 (57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현대 사회는…
법의 성 ―정신분석학적 접근― Psychoanalytic Approach to the sex of law 이상돈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255-294 (40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포용적 법실증주의 재고 ― 가능성과 한계 ― Rebooting Inclusive Legal Positivism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김주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비판적 법실증주의를 다시 생각함 Reconsidering Critical Legal Positivism 김현철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1-30 (30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법철학 패러다임에 관한…
비개연성과 개연성의 역설로서의 매체: 루만의 매체이론을 중심으로 Mediu m as t he P aradox of P robability a nd Improbability: Focused on Luhmann’s Theory…
『차이와 반복』의 두 번째 종합과 반복의 두 형상 The Second Synthesis and Two Forms of Repetition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변예은 서울시립대학교 철학연구 2024,…
칸트의 경험적 직관에서 개념의 역할: 감성적 종합에서 범주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Role o f Concepts i n Kant’s Empirical I ntu ition: The Role…
오킨의 “휴머니스트 정의”를 위한 변론 A defense of Okin’s “Humanist Justice” 김은희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철학 2024, vol., no.158, pp. 175-205 (31 pages) 10.18694/KJP.2024.2.158.175 한국철학회…
칸트 철학에서 ‘광신Schwärmerei’의 의미와 역할 -순수이성의 탈선의 가능성과 그에 대한 경계- The Meaning and the Role of ‘Schwärmerei’ in Kant’s philosophy : Warning against…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연민(eleos)과 부정의(adikia)의 상관성 문제 The problem of the correlation between pity and injustice in Plato and Aristotle 손병석 고려대학교 철학 2024, v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