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의 철학적 심리학과 무의식의 존재론 Hegel’s Philosophical Psychology and Ontology of the Unconscious 오지호 서울대학교 철학과 철학연구 2024, vol., no.145, pp. 1-28 (28 pages)…
헤겔의 철학적 심리학과 무의식의 존재론 Hegel’s Philosophical Psychology and Ontology of the Unconscious 오지호 서울대학교 철학과 철학연구 2024, vol., no.145, pp. 1-28 (28 pages)…
허구적 이름, 대화적 함의, 그리고 밀주의 Fictional Names, Conversational Implicatures, and Millianism 박성수 성균관대학교 논리연구 2024, vol.27, no.2, pp. 111-138 (28 pages) 한국논리학회 초록…
Proof-Theoretic Justification for Deduction and the Fundamental Assumption 이종현 고려대학교 논리연구 2024, vol.27, no.2, pp. 139-165 (27 pages) 한국논리학회 초록 Proof-theoretic semantics is…
Marx’s Question of Justice and the Method of Immanent Critique in Capital 마르크스의 <자본론>에서 정의의 물음과 내재적 비판의 방법 오근창 인천대학교 철학 2024, vol.,…
관계 평등주의가 분배 평등주의에 제기하는 비판과 분배 평등주의의 대응 On the Contrast and Conflict between Relational and Distributive Egalitarianism 주동률 한림대학교 철학 2024, vol.,…
AI 시대, ‘레드차이나’와 ‘디지털 레닌주의’‒ 이중의 감시 체계: ‘디지털차이나’와 ‘센티널차이나’ ‒ ‘Red China’ and ‘Digital Leninism’ in the Age of AI- Double Surveillance System:…
도설 제작 전통을 통해 본 한국 유학의 ‘시간[時]’ 관념‒ 근기남인계 유학자들의 「숙흥야매잠도」를 중심으로‒ Interpreting the Concept of ‘Time’ in Korean Confucian Philosophy Through the…
묵가 사상의 변천에 관한 연구(Ⅱ) – 전국시대 후기에서 전한시대 초기의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Changes in Mohist Thought(Ⅱ) – Focusing on the…
‘법원(法源)-법규범의 구별’과 메타-법철학 The Distinction between ‘Sources of Law’ and ‘Legal Norms’ and Meta-Jurisprudence 이현경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한국연구재단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인공물로서의 법감정과 법적 근거지음에서 상상력의 역할 Rechtsgefühl as an artefact and the role of imagination in legal reasoning 박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법철학연구 2024, vol.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