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목적주의의 발전 ―법과정학파부터 신목적주의까지― Development of Purposivism in the U.S. ―From the Legal Process School to the New Purposivism― 공두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미국 목적주의의 발전 ―법과정학파부터 신목적주의까지― Development of Purposivism in the U.S. ―From the Legal Process School to the New Purposivism― 공두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헥크(Ph. Heck)의 이익법학에 있어 법해석과 법학방법론 Die Interessenjurisprudenz von Ph. Heck und ihre juristische Methodenlehre 이계일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295-352…
파브로와 질송의 존재 인식 The knowledge of being in Fabro and Gilson 바티스타 몬딘(이재룡 옮김) 가톨릭철학 2024, vol., no.42, pp. 5-44 (40 pages) 한국가톨릭철학회…
종교와 과학의 갈등 – 코페르니쿠스주의자들은 어떻게 코페르니쿠스를 위험하게 했는가? – The Conflict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 How did the copernicans put copernican system…
아우구스티누스와 공동선 St. Augustine and Common Good 하재홍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389-445 (57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현대 사회는…
법의 성 ―정신분석학적 접근― Psychoanalytic Approach to the sex of law 이상돈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255-294 (40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포용적 법실증주의 재고 ― 가능성과 한계 ― Rebooting Inclusive Legal Positivism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김주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비판적 법실증주의를 다시 생각함 Reconsidering Critical Legal Positivism 김현철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1-30 (30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법철학 패러다임에 관한…
비개연성과 개연성의 역설로서의 매체: 루만의 매체이론을 중심으로 Mediu m as t he P aradox of P robability a nd Improbability: Focused on Luhmann’s Theory…
『차이와 반복』의 두 번째 종합과 반복의 두 형상 The Second Synthesis and Two Forms of Repetition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변예은 서울시립대학교 철학연구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