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설 제작 전통을 통해 본 한국 유학의 ‘시간[時]’ 관념‒ 근기남인계 유학자들의 「숙흥야매잠도」를 중심으로‒ 한국철학회](https://www.jheynetwork.co.kr/wp-content/uploads/2022/04/19531001_한국철학회-351x221.jpg)
도설 제작 전통을 통해 본 한국 유학의 ‘시간[時]’ 관념‒ 근기남인계 유학자들의 「숙흥야매잠도」를 중심으로‒ Interpreting the Concept of ‘Time’ in Korean Confucian Philosophy Through the…
도설 제작 전통을 통해 본 한국 유학의 ‘시간[時]’ 관념‒ 근기남인계 유학자들의 「숙흥야매잠도」를 중심으로‒ Interpreting the Concept of ‘Time’ in Korean Confucian Philosophy Through the…
묵가 사상의 변천에 관한 연구(Ⅱ) – 전국시대 후기에서 전한시대 초기의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Changes in Mohist Thought(Ⅱ) – Focusing on the…
‘법원(法源)-법규범의 구별’과 메타-법철학 The Distinction between ‘Sources of Law’ and ‘Legal Norms’ and Meta-Jurisprudence 이현경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한국연구재단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인공물로서의 법감정과 법적 근거지음에서 상상력의 역할 Rechtsgefühl as an artefact and the role of imagination in legal reasoning 박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법철학연구 2024, vol.27,…
법실증주의 재판이론의 개방성에 관하여 On the Open Nature of Legal Positivism toward Legal Methodology 안준홍 가천대학교 법학과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353-387 (35…
법명제의 내포적 동치 분석 An Analysis on Intensional Equivalence of Legal Proposition 이민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446-494 (49 pages) 한국법철학회 …
법적 규칙에 대한 하트의 이해방식 Hart on Legal Rules 권경휘 영산대학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30-84 (55 pages) 한국법철학회 Ⅰ. 서론 Ⅱ. 하트의…
찰스 테일러 철학에서의 자기와 초월 Self and Transcendance in the Philosophy of Charles Taylor 김헌중 군산대학교 가톨릭철학 2024, vol., no.42, pp. 105-145 (41 pages)…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론과 그 이론의 현대적 적용 사례 Aristotelian Hylomorphism and Contemporary Philosophy of Mind 유원기 계명대학교 가톨릭철학 2024, vol., no.42, pp. 45-74 (30 pages)…
법의 유효성 문제와 라드브루흐 공식 The Validity of Law and the Radbruch Formula 손제연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1, pp. 85-148 (64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