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론송』의 「관사견품」 연구 – 불일불이와 불상부단의 논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ūlamadhyamakakārikā’s 27th Chapter, dṛṣṭiparīkṣā nāma saptaviṃśatitamaṃ prakaraṇam – Focusing on Argumentation of…
 
				
								
				
				
				『중론송』의 「관사견품」 연구 – 불일불이와 불상부단의 논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ūlamadhyamakakārikā’s 27th Chapter, dṛṣṭiparīkṣā nāma saptaviṃśatitamaṃ prakaraṇam – Focusing on Argumentation of…
 
				
								
				
				
				『유식이십론』의 논변 전략에 대하여 On the Argumentative Strategy of Viṃśikā 이길산 경남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09, pp. 41-65 (25 pages) 한국불교학회 초록 켈너‧테이버의…
 
				
								
				
				
				부파 전적에 나타난 사마타의 체계성 검토 – 수행범주와 구차제정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amatha’s Systematicity of Early Buddhist Schools in India -…
![선록(禪錄)에 나타난 집[家, house]에 대한 상징 및 의미 한국불교학회](https://www.jheynetwork.co.kr/wp-content/uploads/2023/02/한국불교학회-351x221.jpg) 
				
								
				
				
				선록(禪錄)에 나타난 집[家, house]에 대한 상징 및 의미 The Symbol and Meaning of House (家) in Seonlok (禪錄) 신명희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한국불교학 2024,…
 
				
								
				
				
				범일(梵日)의 오대산 주석과 영향 관계 검토 A Review on Beomil(梵日)’s Mt. Odaesan Residence and Influencial Relationship 염중섭 중앙승가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09, pp. 325-350…
 
				
								
				
				
				법장의 「현전지」(現前地) 해석에 대하여 A Study on Fa-Tsang’s Commentary on Abhimukhī 이경희 국립안동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09, pp. 125-151 (27 pages) 한국불교학회 초록…
『三彌底部論』의 연구(上) – 자아에 관한 장 – A Study on the Sammitīya-nikāya-śāstra – Chapter on Ātman – (Part I) 김태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한국불교학 2024,…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본 융심리학과 대행선 Jungian Psychology and Daehaengseon from a Psychotherapeutic Perspective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10, pp. 181-215 (35 pages) 한국불교학회…
 
				
								
				
				
				중국 ‘동서문화 논쟁’이 근대불교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China’s ‘East-West Culture Debate’ on Modern Buddhism 김제란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한국불교학 2024, vol., no.110, pp.…
 
				
								
				
				
				성림 월산(聖林月山)의 생애에 관한 고찰 – 「불국사ㆍ청계사ㆍ법주사비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fe of Seongnim Weolsan – Focusing on Bulguksa, Cheonggyesa and Beopj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