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의 형이상학: 포인트와 겅크 Metaphysics of Space: Point and Gunk 최이선 이화여자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연구 2024, vol.171, pp. 295-318 (24 pages) 10.20293/jokps.2024.171.295 대한철학회 초록…
공간의 형이상학: 포인트와 겅크 Metaphysics of Space: Point and Gunk 최이선 이화여자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연구 2024, vol.171, pp. 295-318 (24 pages) 10.20293/jokps.2024.171.295 대한철학회 초록…
가스통 바슐라르 사상에서 ‘몽상’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사랑’의 역할에 관하여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Rêverie and the Role of Love in Gaston…
퍼실리테이터의 역량 강화를 위한 비판적 사고의 기술과 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kills and Disposition of Critical Thinking to Strengthen the Facilitator’s…
환경실용주의(Environmental Pragmatism)의 본질 규명 Elucidation of the Substance of Environmental Pragmatism 김일방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 철학연구 2024, vol.171, pp. 109-137 (29 pages) 10.20293/jokps.2024.171.109 대한철학회 …
임계의 철학: 잠재성의 의미론 The Philosophy for the Primarily Critical:The Meaning Theory of the Potential 김동규 동서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중국연구센터 철학연구 2024, vol.171, pp. 51-81…
실재 없는 도덕의 권위 Authority of Morality without Reality 박수환 셰필드대학교 철학과 철학연구 2024, vol.171, pp. 193-213 (21 pages) 10.20293/jokps.2024.171.193 대한철학회 초록 이…
흄에게 있어서 구성된 주체와 주체화의 문제 In Hume’s Theory, the Constructed Subject and the Problem of Subjectivation 박대윤 경상국립대학교 철학과 철학연구 2024, vol.171, pp.…
훌륭함의 뜻매김 Defining Hullyunghada(excellent) in Korean 구연상 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 철학연구 2024, vol.171, pp. 23-49 (27 pages) 10.20293/jokps.2024.171.23 대한철학회 초록 이 글은 ‘훌륭하다’라는 우리말의 뜻풀이를…
‘시간과 공간의 철학’에서 ‘시간의 철학’으로 : 라이헨바흐 시간 철학의 전개에 관한 연구 From the Philosophy of ‘Space & Time’ to the Philosophy of ‘Time’…
의지와 악의 문제에 관한 한 고찰: 아우구스티누스, 키에르케고르, 야스퍼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ill and Problem of Evil: Focusing on Augustine, Kierkegaard,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