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헥크의 이익법학과 법관의 법형성론 ―평가증액판결에 대한 헥크의 논의를 포함하여― Interessenjurisprudenz von Philipp Heck und ihre Strukturierung richterlicher Rechtsfortbildung ― einschließlich der Diskussion von Heck…
헥크의 이익법학과 법관의 법형성론 ―평가증액판결에 대한 헥크의 논의를 포함하여― Interessenjurisprudenz von Philipp Heck und ihre Strukturierung richterlicher Rechtsfortbildung ― einschließlich der Diskussion von Heck…
법치 개념의 재구성: 형사처벌의 도덕적 정당화 문제에 관하여 Reconceptualizing the Rule of Law: On the Moral Legitimation of Criminal Punishment 김은희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명지대학교…
대법원 판결에 나타난 ‘전체 법질서’ 개념의 의미와 성격 A Conception and Nature of a Whole System of Law in Korean Supreme Court 강우예 한국해양대학교…
디지털 기술시대의 몸과 장애의 상황 The Situation of the Body and Disability in the Digital Technology Era 심귀연 경상국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김문정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김창식…
포이에르바흐의 자연개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Feuerbach’s Concept of Nature 이서규 제주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171, pp. 267-293 (27 pages) 10.20293/jokps.2024.171.267 대한철학회 초록 포이에르바흐는…
감정의 규범성 정립을 위한 일고찰: 감정 논의의 개념적 도구로서 이모티브 이론 A study on establishing the normativity of emotion ― Emotive theory as a…
법담론의 전환기적 특성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Legal Discourse 박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2, pp. 7-28 (22 pages) 한국법철학회 출발점 인식관심의 변화:…
법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한국법기호학을 위해서 Eine semiologische Versuch an das Recht ― Um einen semiologische Umbau auf koreanische Rechtswissenschaft zu einzuprüfen 강희원 경희대학교 법철학연구…
자율적 행복론을 위하여 – 칸트 윤리학의 현재와 미래 – On the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Present and Future of Kant’s Ethics 이철우 경상국립대학교 철학과…
현상학과 역사의 만남에서 방법의 문제 – 후설 「기하학의 기원」에 관한 데리다의 분석을 중심으로 – The Problem of Method in the Encounter between Phenomenology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