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ethics) 인간의 자유를 전제로 타자와의 관계를 숙고하는 실천론이다. 스피노자는 도덕(moral)으로부터 윤리(ethics)를 구별했던 적이 있다. 도덕이 인간의 자유와 무관하게 선과 악이라는 범주를 통해 인간의 삶을…
				
								
				
				
				윤리(ethics) 인간의 자유를 전제로 타자와의 관계를 숙고하는 실천론이다. 스피노자는 도덕(moral)으로부터 윤리(ethics)를 구별했던 적이 있다. 도덕이 인간의 자유와 무관하게 선과 악이라는 범주를 통해 인간의 삶을…
				
								
				
				
				육왕심학(陸王心學) 주체의 마음에 주목했던 육구연과 왕수인의 사유 경향을 통칭하는 말이다. 두 사람은 모두 주희의 공부 방법 중 격물치지(格物致知)를 집요하게 공격했다. 성인(聖人)이 되려는 공부에서 외부…
				
								
				
				
				육사외도(六師外道, sad-darama) 『사문과경』이라는 불교 초기 경전에서 아트만의 불멸성을 인정했던 인도의 사유 전통을 거부했다고 알려진 여섯 명의 사상가들이다. 푸라나 캇사파, 막칼리 고살라, 산자야 벨라티풋타, 아지타…
				
								
				
				
				유전자(gene) 20세기 중엽까지 물리학이 과학적 담론을 주도했다면, 20세기 후반부터는 생물학이 그 역할을 떠맡게 된다. 그 핵심에는 바로 유전자라는 개념이 있다. 유전자는 부모가 자식에게 자신의…
				
								
				
				
				유식불교(唯識佛敎, Yogācāra) 바수반두, 득 세친(世親)에 의해 체계화된 불교 종파로서 중관불교와 함께 대승불교의 양대 학파를 형성한다. 세계의 모든 존재가 공(空)하다는 이론적 통찰을 중시했던 중관불교와는 달리,…
				
								
				
				
				유물론적 변증법(materialistic dialectics) → 변증법 강신주, 『철학 vs 철학』, 그린비(2010), p894.
				
								
				
				
				유물론(materialism)/역사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 정신적인 것이 세계와 역사를 움직인다고 보는 것이 헤겔로 대표되는 관념론이라면, 반대로 세계와 역사의 진정한 동력은 물직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던 것이 유물론과 사적유물론이다. 중요한…
				
								
				
				
				유명론(Nominalism) 보편자가 개별적 사물이 만들어진 뒤 인간이 만든 이름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그래서 유명론에 빠르면, 보편자란 실재론자가 주장하는 것처럼 인간 정신 밖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유명(有名)/ 무명(無名) 노자에게 있어 유명은 명(名)으로, 그리고 무명은 무(無)로 표현될 수 있다. 노자는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원리를 명이라고, 그리고 관계 맺음의 원리를 무라고…
				
								
				
				
				유기체적 자연관(organic nature view) → 기계론적 자연관/유기체적 자연관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