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적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시몽동과 라투르를 중심으로 What is Technical Imagination?: Focusing on Simondon and Latour 김재희 을지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 no.146, pp. 119-147 (29…
기술적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시몽동과 라투르를 중심으로 What is Technical Imagination?: Focusing on Simondon and Latour 김재희 을지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 no.146, pp. 119-147 (29…
야코비 영향사(II): 야코비와 헤겔 Impact History of Jacobi(II): Jacobi and Hegel 최신한 한남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 no.146, pp. 63-88 (26 pages) 철학연구회 초록 이…
칸트의 “경험”은 감각소여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운가? Is Kant’s ‘experience’ free from the problem of sense data? 권영우 고려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 no.146, pp. 27-61 (35…
영웅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텍스트성에 대한 재고: 철학 텍스트로서의 해석학적 가능성 Reconsidering the Textuality of the Heroic Epic Mahabharata: Hermeneutical Possibilities as a Philosophical Text…
아도르노의 카프카 읽기: “후기 자본주의의 암호”로서 오드라데크(Odradek) Adorno’s reading of Kafka: Odradek as a cryptogram of late capitalism 정진범 강릉원주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 no.146,…
혁명과 저항 – 아렌트와 아도르노의 사회적 자유론 – Revolution and Resistance – A Study of Arendt and Adorno’s Theory of Social Freedom – 정진범…
루카치의 물화 개념의 마르크스주의적 성격 분석과 재활성화 과제 Analysis of the Marxist Character of Lukacs’ Concept of Reification and the Task of it’s Revitalization…
하이데거의 진리개념과의 비교를 통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진리개념 규명 Clarification of Gadamer’s Concept of Hermeneutic Truth through a Comparison with Heidegger’s Concept of Truth 설민…
가족의 해체와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and the Possibility of a New Community 이상형 경상국립대학교 철학 2024, vol., no.160, pp.…
관계론의 철학적 기초와 법관계주의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relational theory and legal relationism 이현경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한국연구재단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2, pp. 393-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