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상학적 질적 방법론 고찰 I: 지오르지 현상학의 위상을 둘러싼 지오르지, 페일리, 자하비의 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ology I: Focusing on the…
현상학적 질적 방법론 고찰 I: 지오르지 현상학의 위상을 둘러싼 지오르지, 페일리, 자하비의 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ology I: Focusing on the…
북한 조선철학사 연구에서 동학・천도교의 의미: ‘조선근대철학의 시작과 종결’이라는 은유 The meaning of Donghak and Cheondogyo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Joseon philosophy…
태극(太極)과 신(神): 예수회의 철학적 신론과 동서 형이상학의 조우 Taiji and God: Philosophical Theology of the Jesuits and the Encounter Between Eastern and Western Metaphysics…
용서의 (불)가능성과 사과의 수행성: 데리다의 용서론에 대한 법문학적 이해 The (Im)possibility of Forgiveness and the Performativity of Apology: Understanding Derrida’s Thoughts on Forgiveness through…
비사 쿠르키의 새로운 법인격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que of Visa Kurki’s New Theory of Legal Personhood 김건우 광주과학기술원(GIST) 인문사회과학부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3,…
자유주의 통치성과 복지국가에 대한 푸코와 에발드의 사유 Foucault and Ewald on Liberal Governmentality and the Welfare State 임미원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3,…
니체가 요구한 자기 지배와 자기 형성의 가능성을 존재론적으로 논증하기 The Ontological Argument for the Possibility of Self-Domination and Self-Formation as Demanded by Nietzsche 박현정…
통시적 자유보장과 사법적 파상력 Intertemporal Freedom Guarantee and Judicial Pa-sang-ryok 김진하 서울고등법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3, pp. 219-261 (43 pages) 한국법철학회 Ⅰ. 서론…
인공물로서의 법감정과 법적 근거지음에서 상상력의 역할 Rechtsgefühl as an artefact and the role of imagination in legal reasoning 박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법철학연구 2024, vol.27,…
탈인간중심적 존엄개념의 가능성 Possibility for a non-anthropocentric conception of dignity 최정호 서울대학교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3, pp. 182-218 (37 pages) 한국법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