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시적 자유보장과 사법적 파상력 Intertemporal Freedom Guarantee and Judicial Pa-sang-ryok 김진하 서울고등법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3, pp. 219-261 (43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통시적 자유보장과 사법적 파상력 Intertemporal Freedom Guarantee and Judicial Pa-sang-ryok 김진하 서울고등법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3, pp. 219-261 (43 pages) 한국법철학회 초록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다종 간 지식과 체화된 공감 Interspecies Knowledge and Embodied Empathy 현남숙 전북대학교 김영진 동국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 no.147, pp. 265-294 (30 pages) 10.23908/JSPS.2024.12.147.265 철학연구회…
아리스토텔레스와 ‘탐구적 추론’ Aristotle and ‘zetetic syllogism’ 조대호 연세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 no.147, pp. 131-161 (31 pages) 10.23908/JSPS.2024.12.147.131 철학연구회 초록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 방법론에…
스위스 여성 노인과 그들의 협회: 유럽인권재판소 기후 결정의 청구인 적격 검토를 통해 본 인권과 기후위기의 관계 Senior Swiss Women and Their Association: An Examination…
현상학적 질적 방법론 고찰 I: 지오르지 현상학의 위상을 둘러싼 지오르지, 페일리, 자하비의 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ology I: Focusing on the…
북한 조선철학사 연구에서 동학・천도교의 의미: ‘조선근대철학의 시작과 종결’이라는 은유 The meaning of Donghak and Cheondogyo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Joseon philosophy…
태극(太極)과 신(神): 예수회의 철학적 신론과 동서 형이상학의 조우 Taiji and God: Philosophical Theology of the Jesuits and the Encounter Between Eastern and Western Metaphysics…
용서의 (불)가능성과 사과의 수행성: 데리다의 용서론에 대한 법문학적 이해 The (Im)possibility of Forgiveness and the Performativity of Apology: Understanding Derrida’s Thoughts on Forgiveness through…
비사 쿠르키의 새로운 법인격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que of Visa Kurki’s New Theory of Legal Personhood 김건우 광주과학기술원(GIST) 인문사회과학부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3,…
자유주의 통치성과 복지국가에 대한 푸코와 에발드의 사유 Foucault and Ewald on Liberal Governmentality and the Welfare State 임미원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철학연구 2024, vol.27, no.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