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신간안내

함께 바라보는 동과 서
By 0

동서 문명의 거장들이 던지는 시대의 대화 『함께 바라보는 동과 서 – 인간혁명과 지구혁명』 출간 인류의 미래와 문명의 방향을 진지하게 성찰한 대담집 『함께 바라보는 동과…

퇴계와 동서철학의 만남
By 0

퇴계(이황, 1501~1570)의 학문적 위상은 조선사회의 통치이념이던 주자학(성리학)을 세계적 수준으로 재해석하고 독자적 수준으로 발전시킨 석학이자 거장이다. 송대(宋代) 주자의 성리학이 조선왕조의 창업(1392)과 더불어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
By 0

반복되는 시대의 기시감, 개발독재의 유령, 파시즘적 정동이 되살아나는 지금, 우리는 진보의 길을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 철학자 이정우는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에서 이러한 역사적…

현대인의 삶을 위한 도덕경
By 0

노자 도덕경의 도, 무, 무위 등의 가르침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책이다. : 노자가 말했듯, 도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큰 뜻을 품은 자여, 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가
By 0

다산 정약용은 마흔의 나이에 큰 잘못 없이 종교 문제와 정치적 이유로 유배를 당했습니다. 누구보다 성실하게 살아왔던 그였기에, 하늘이 자신을 가로막는다고 느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그는…

여성을 억압하는 세계
By 0

혐오, 동물권, 여성, 인권 등 세계의 절실한 문제들을 끌어안고 꾸준히 연구해 온 철학자 마사 누스바움의 페미니즘 철학서가 출간됐다. 『여성을 억압하는 세계』는 개발도상국 인도에서 살아가는…

정암 조광조는 왜 지치의 도학에 매진했는가?
By 0

정암의 꿈이 지치至治였다고 속삭인다. 지치란 ‘지극한 정치’로서, ‘하늘과 사람의 틈새 없는 세상’을 지상에 펼치려는 유학 이념이다. 사람이 순정성을 회복해야 지치의 꿈이 구현된다고 하니, 첫째도…

생명철학과 생태미학
By 0

이 책은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와 중국 산동대학교 문예미학연구센터가 10년 넘게 이어온 학술 교류의 다섯 번째 성과물이다. 2023년 12월, ‘동아시아 철학, 생태미학과 생태예술’을 주제로 열린 한중…

초역 삼국지
By 0

지치고 힘든 이 시대, 4050을 위한 『삼국지』 이 책은 『삼국지』의 주요 장면들을 바탕으로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삶의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 나갈 수 있을지를…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