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는 항복선언 직전에 패전 후의 치안문제와 정치범 석방, 일본인의 보호를 위하여 한국내 지도급 인사들과의 접촉을 시도하였다. 그 접촉 대상 인물로는 중도 좌파 성향의 여운형(呂運亨),…
조선총독부는 항복선언 직전에 패전 후의 치안문제와 정치범 석방, 일본인의 보호를 위하여 한국내 지도급 인사들과의 접촉을 시도하였다. 그 접촉 대상 인물로는 중도 좌파 성향의 여운형(呂運亨),…
영암 군경 충돌사건은 1947년 6월 3일 전남 영암에서 국방경비대 제4연대 제1대대와 영암 경찰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 사건이었다. 광주 주둔 제4연대는 창설 초기부터 대원들의 자질…
대전 주둔 제2연대의 공금횡령과 보급품 부정처분 사건은 남로당의 인민혁명군사건과 더불어 남로당의 군내 활동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연대장이 직접 관여한 이 사건은 광복군계와 일본군계의…
경비사관학교 생도대장 폭행사건은 1946년 12월 4일 밤에 생도대장이면서 경비사관학교 교장 대리를 겸하고 있던 이치업(李致業) 대위가 자신의 숙소에서 취침 중 사관후보생들로부터 집단 구타를 당해 의식불명에…
제1연대 제1대대 소요사건은 1946년 5월 23일 제1연대 제1대대 사병들이 연병장에 모여 데모를 일으킨 사건이었다. 사건의 직접적인 원인은 영등포 보급중대에서 차량 2대 분량의 보급품을 부정처분한…
영점이 잡힌 것 같아서 실사격을 해보기로 했다. 어라, one-shot, one-kill. 그래서 영점사격 표적 말고, 7cm 타겟 사격을 해보기로 했다.
조준경에 달았었던 레이저 포인터가 다른 목적으로 출장을 다녀오는 바람에, 조준점을 다시 찾기 위한 단발 영점 사격을 실시. 원 안에 들어있는 두 발이 마지막 사격…
광복 직후 좌익세력은 조선국군준비대(朝鮮國軍準備隊)와 조선학병동맹(朝鮮學兵同盟) 등을 통해 자체의 무력을 갖고자 하였다. 그러나 1945년 11월 13일 미군정청내에 국방사령부(國防司令部)가 설치되고 1946년 1월 15일 국방사령부 예하에 국방경비대(國防警備隊)가…
자, 이제 다시 7m에 도달했다. AWM으로도 넘지 못했던 사거리, VSR-10으로 재도전!! 이제 시작해보자.
일단 2MOA 안까지 사격완료. 자 다음 거리로 넘어가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