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철학 VS 철학

철학vs철학1
유전자(gene)
By 0

유전자(gene) 20세기 중엽까지 물리학이 과학적 담론을 주도했다면, 20세기 후반부터는 생물학이 그 역할을 떠맡게 된다. 그 핵심에는 바로 유전자라는 개념이 있다. 유전자는 부모가 자식에게 자신의…

철학vs철학1
유식불교(唯識佛敎, Yogācāra)
By 0

유식불교(唯識佛敎, Yogācāra) 바수반두, 득 세친(世親)에 의해 체계화된 불교 종파로서 중관불교와 함께 대승불교의 양대 학파를 형성한다. 세계의 모든 존재가 공(空)하다는 이론적 통찰을 중시했던 중관불교와는 달리,…

철학vs철학1
유물론(materialism)/역사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
By 0

유물론(materialism)/역사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 정신적인 것이 세계와 역사를 움직인다고 보는 것이 헤겔로 대표되는 관념론이라면, 반대로 세계와 역사의 진정한 동력은 물직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던 것이 유물론과 사적유물론이다. 중요한…

철학vs철학1
유명론(Nominalism)
By 0

유명론(Nominalism) 보편자가 개별적 사물이 만들어진 뒤 인간이 만든 이름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그래서 유명론에 빠르면, 보편자란 실재론자가 주장하는 것처럼 인간 정신 밖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철학vs철학1
유명(有名)/ 무명(無名)
By 0

유명(有名)/ 무명(無名) 노자에게 있어 유명은 명(名)으로, 그리고 무명은 무(無)로 표현될 수 있다. 노자는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원리를 명이라고, 그리고 관계 맺음의 원리를 무라고…

철학vs철학1
원인(aitios)/원인론(aitilogy)
By 0

원인(aitios)/원인론(sitilogy) 고대 그리스철학의 특징 중 하나는 사물이나 세계가 존재하는 원인을 발견하려는 의지라고 할 수 있다. 세계의 원인을 ‘물’에서, 그리고 헤라클레이토스가 ‘불’에서 찾았던 것이 그…

철학vs철학1
우주발생론(cosmogony)
By 0

우주발생론(cosmogony) 우주와 세계의 발생 과정에 주목했던 근대 이전에 중시되었던 학문 분과이다. 우주발생론에는 전체와 개체 사이에서 관계를 중시했던 고대 사람들의 속내가 묻어 있다. 개체로서 자신의…

철학vs철학1
우발성(contingency)
By 0

우발성(contingency) 접촉(contact)을 의미하는 라틴어 ‘contingere’에서 유래한 말로서 독립적인 두 가지 인과 계열들이 마주쳤을 때 발생하는 사건의 성격. 우발성은 세계에 수많은 인과 계열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1 11 12 13 14 15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