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철학 VS 철학

철학vs철학1
연기(緣起, pratītyasamutpāda)
By 0

연기(緣起, pratītyasamutpāda) 모든 것에 불변하는 본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 주기 위해서 불교에서 주장했던 이론이다. 연기란 글자 그대로 ‘조건에 의해 발생한다’는 의미이다. 모든 것은…

철학vs철학1
역사철학(philosophy of history)
By 0

역사철학(philosophy of history) 역사의 진행과 그 방향에 함축되어 숨겨져 있는 논리나 동력을 추적하거나, 인간에게 역사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해명하려는 철학 분과다. 헤겔이 관념적 실체인…

철학vs철학1
여래장(如來藏, Tahāgatagarbha)
By 0

여래장(如來藏, Tahāgatagarbha) 여래, 즉 부처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불성(佛性)과 거의 동일한 함의를 갖는 개념이다. 존재론적 의미로 독해된 여래장은 불교의 핵심적 가르침인…

철학vs철학1
에포케(epoché)
By 0

에포케(epoché) → 판단 중지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9.

철학vs철학1
에이도스(ēidos)
By 0

에이도스(ēidos) → 이데아/에이도스/~인 것 자체/형상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9.

철학vs철학1
에로티즘(erotism)
By 0

에로티즘(erotism) 금기와 위반의 철학자 바타유의 사유를 대표하는 개념이다. 그는 지금까지 동물적인 것이라고 폄하되었던 에로티즘이 너무나 인간적인 것이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바타유에 따르면 에로티즘은 금기시된 성적…

철학vs철학1
없음(無)
By 0

없음(無) → 있음/없음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89.

철학vs철학1
언어 게임(Language game)
By 0

언어 게임(Language game) 다양한 언어들은 다양한 게임들처럼 자기만의 고유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통찰이 녹아 있는 개념이다. 여기서 ‘다양한 언어들’은 다양한 모국어들만을 가리키는…

철학vs철학1
언어(language)
By 0

언어(language) 서양철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 특이점이 눈에 들어오게 된다. 중세철학까지 서양철학은 이데아나 신과 같은 초월적인 존재를 탐구하는 데 여념이 없었고, 근대철학에 들어서면서…

1 2 3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