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대사전

철학vs철학1
금기(taboo)
By 0

금기(taboo)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서 그 성원들에게 강제되었던 금지사항들을 가리킨다. 레비-스트로스가 모든 인간 공동체의 공통된 금기로 발견한 것이 바로 ‘근친상간’이었다. 그렇지만 바타유는 근친상간과 같은 금기를…

철학vs철학1
근본적 생태론(redical ecology)
By 0

근본적 생태론(redical ecology) 스피노자의 범신론처럼 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들이 동일한 자연의 자손이라는 입장을 피력하는 생태학을 말한다. 『가이아: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Gaia: A New Look…

철학vs철학1
그림 이론(picture theory)
By 0

그림 이론(picture theory) 청년 비트겐슈타인이 『논리철학논고』에서 피력했던 언어 이론이다. 어떤 단어의 의미는 그것이 마치 그림처럼 묘사하고 있는 실재 대상이라는 것이다. ‘빨간 하이힐’이란 단어의 의미는…

철학vs철학1
권력(power)
By 0

권력(power) 실체 개념이라기보다 관계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실천철학적 범주이다. 내가 약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강한 것이고, 그래서 나는 그의 지배를 받는 것이다. 루소나 푸코가 지적했던…

철학vs철학1
국가(state)
By 0

국가(state) 수탈과 재분배를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영속적인 지배 관계를 관철시키려는 인간 공동체의 한 가지 형식이다. 근대 이전에 국가는 왕권신수설이라는 다분히 종교적인 담론으로 정당화되었다. 이후 근대사회에…

철학vs철학1
교환가치(exhange value)/사용가치(use value)
By 0

교환가치(exhange value)/사용가치(use value) 빵 한 덩이가 있을 때 그것을 구매할 수 있는 화폐의 양이 교환가치라면, 그것으로 배고픔을 달랠 수 있는 가치가 바로 사용가치이다. 자본주의…

철학vs철학1
교종(敎宗)
By 0

교종(敎宗) → 율종/선종/교종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863.

철학vs철학1
관념론(idealism)
By 0

관념론(idealism) 이데아(idea)와 같은 본질이 정신 바깥에 실제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던 입장이다. 실재론은 츨라톤 이후 서양 중세철학 때까지 지속되었던 사유 전통이었다. 반면 근대철학 이후부터 관념론의 의미는…

1 57 58 59 60 61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