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대사전

철학vs철학1
간화선(看話禪)
By 0

간화선(看話禪) 선종은 불립문자(不立文字)나 이심전심(以心傳心)이란 슬로건에서 알 수 있듯 경전에 대한 이론적 성찰을 거부하고 치열한 자기 수행이나 스승과 제자 사이의 직대면을 강조했던 볼교 종파였다. 이…

철학vs철학1
가능세계(possible world)
By 0

가능세계(possible world) 라이프니츠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세계가 가능세계들 중 최선의 세계로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주장했던 적이 있다. 라이프니츠를 신봉했던 러셀이 고유명사를 기술구들로 해체하려고 하자,…

귀납(induction)
By 0

귀납 부분을 보고 전체의 이론을 도출하는 방법 induction 귀납induction이란 구체적 사례들을 통해 일반적인 가설이나 이론을 도출하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일반적인 이론을 통해 구체적 사례들을…

철학vs철학1
흄(David Hume)
By 1

흄(David Hume, 1711~1776) 칸트를 ‘독단의 잠’으로부터 깨어나도록 만들었던 근대 영국 경험론의 대표자. 그는 사건들을 관찰할 때 확인되곤 하는 인과율이 세계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철학vs철학1
후설(Edmund Husserl)
By 0

후설(Edmund Husserl, 1859~1938) 인간 마음의 본질이 지향성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현상학이라는 철학적 탐구 방법을 개시했던 유태계 현대 독일 철학자. 초기에는 마음의 능동적인 지향성과 구성…

철학vs철학1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By 0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1861~1947) 불변하는 본질을 추구하던 서양철학 전통을 거부하고 역동적인 변화와 생성을 사유하고자 했던 현대의 가장 탁월한 형이상학자. 생성의 역동적인 과정을 중시했던 그는…

철학vs철학1
홉스(Thomas Hobbes)
By 0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사회계약론은 토대로 국가를 정당화하려고 최초로 시도했던 근대 영국의 정치철학자. 그에 다르면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자신의 권력을 주권자에게…

철학vs철학1
혜원(慧遠)
By 0

혜원(慧遠, 334~416) 불교의 윤회설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영혼이 불멸한다는 사실을 논증했던 중국 동진 시대의 불교 이론가. 불행히도 그는 자신의 주장이 나가르주나의 공(空) 이론과 충돌될 수…

철학vs철학1
혜시(惠施)
By 0

혜시(惠施, BC370?~BC309?) 사물들의 같고 다름을 해명하여 세계의 모든 개체들이 같아지는 추상적 지평을 발견했던 고대 중국의 논리학자. 같고 다름, 즉 동이(同異)를 중심으로 전개된 추상적 추론…

철학vs철학1
혜능(惠能)
By 0

혜능(惠能, 638~713) 자신의 제가 신회(神會)에 의해 북종선과의 헤게모니 싸움에서 승리한 남종선의 전설로 승화된 승려. 전설에 따르면 신수와 선종 6조(祖)의 자리를 놓고 다투다가 그는 자신의…

1 48 49 50 51 52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