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대사전

철학vs철학1
노장철학(老莊哲學)
By 0

노장철학(老莊哲學) 노자가 도가 사유를 시작했고 장자가 노자의 사유를 심화시켰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학술 용어이다. 이 용어는 공자와 맹자의 유학 사상을 ‘공맹사상’ 혹은 ‘공맹철학’으로 부르는…

철학vs철학1
노에시스(noesis)/노에마(noema)
By 0

노에시스(noesis)/노에마(noema) 정신을 의미하는 희랍어 누스(nous)로부터 유래한 말로 우리 의식에 주어진 사태 자체로 되돌아가자고 했던 후설 현상학의 핵심 개념들이다. 노에시스가 어떤 사태를 지향하는 우리의 마음의…

철학vs철학1
내포(intension)/외연(extension)
By 0

내포(intension)/외연(extension) 논리학은 하나의 개념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고 말한다. 그 하나가 내포이고, 다른 하나는 외연이다. 내포라는 것은 어떤 개념이 함축하는 성질이고, 외연은 그 개념이…

철학vs철학1
내재성(immanece)
By 0

내재성(immanece) 초월성과 더불어 세계를 설명하는 두 가지 입장 중 하나로, 프랑스의 현대철학자 들뢰즈에 의해 강하게 피력되었다. 내재성의 입장을 따르는 사람들은 세계를 설명할 때 세계를…

철학vs철학1
남종선(南宗禪)/북종선(北宗禪)
By 0

남종선(南宗禪)/북종선(北宗禪) 선종의 계보에 따르면 5조 홍인(弘忍)의 법통을 이으려고 경쟁했던 두 명의 제자가 있었다. 한 명은 중국 북부 도시 출신이었던 지적인 신회(神會)였고, 다른 한 명은…

철학vs철학1
깨달음[覺]
By 0

깨달음[覺] 불교의 치열한 자기 수행이 최종적으로 달성되었을 때 발생하는 마음의 이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각(覺)이란 한자어가 상징하듯, 깨달은 자는 잠에서 깨어난 것과 같이 자신을 포함한…

철학vs철학1
기호(sign)
By 0

기호(sign) 어떤 대상을 대신해서 그것을 지칭하도록 사용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하트 모양이 사랑을 대신하고, ‘낙타’라는 단어가 실제 낙타를 대신한다. 그러니까 언어는 기호 중 하나의…

철학vs철학1
기표(signifiant)/기의(signifié, signified)
By 0

기표(signifiant)/기의(signifié, signified) 현대 프랑스 구조주의 언어학자 소쉬르는 기호에는 기표의 측면과 기의의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기표가 음성이나 형상과 같이 감각적으로 수용되는 기호의 물질적인 측면이라면, 기의는…

철학vs철학1
기억(memory)
By 0

기억(memory) 과거의 일을 다시 떠올릴 수 있는 마음의 능력을 의미한다. 기억이란 능력은 서양철학 전통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다. 인식이란 기본적으로 상기, 즉 기억에…

철학vs철학1
기술 이론(theory of descriptions)
By 0

기술 이론(theory of descriptions) 고유명사는 기술구들(descriptions)로 치환 가능하다고 러셀이 제안했던 이론이다. 예를 들어 나흔(那盺)이라는 고유명사는 “비파 연주를 좋아했던 여성”, “당나라 문인들이 아꼈던 여성” 등과…

1 44 45 46 47 48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