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jhey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철학vs철학1

팔식(八識, aṣṭavijñāna)

By 0

팔식(八識, aṣṭavijñāna) 바수반두가 제안했던 심층 심리학, 혹은 집착의 계보학을 관통하는 개념이다. 인간의 의식은 양파…

철학vs철학1

판단 중지(에포케, epoché)

By 0

판단 중지(에포케, epoché) 일상적 생각에 따르면, ‘내가 나무를 본다’는 것은 여기에 있는 내가 저기에…

철학vs철학1

트라우마(trauma)

By 0

트라우마(trauma) 정신적 외상을 가리키는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이다. 감당치 못할 사건이 벌어졌을 때, 그 사건은…

철학vs철학1

통약 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

By 0

통약 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 과학혁명 이전의 정상과학과 과학혁명 이후 새롭게 만들어진 정상과학 사이에는 서로 비교할 수…

철학vs철학1

태허(太虛)/객형(客形)

By 0

태허(太虛)/객형(客形) 중국 북송 시대의 신유학자 장재가 세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했던 핵심 개념쌍이다 태허와 객형은…

철학vs철학1

태극(太極)

By 0

태극(太極) 신유학, 특히 주희에게서 모든 만물에 내재하면서 동시에 모든 만물을 초월하는 원리로 이해되었던 우주…

철학vs철학1

탈존(脫存, existence)

By 0

탈존(脫存, existence) → 실존/탈존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912.

철학vs철학1

탈영토화(Déterritorialisation)

By 0

탈영토화(Déterritorialisation) 들뢰즈는 세계의 모든 존재가 잠재성(virtualité)과 현실성(actualité)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이해한다. 존재의…

철학vs철학1

타자(the other)

By 0

타자(the other) 타자는 주체, 즉 ‘나’라는 범주와 함께할 수밖에 없는 범주이다. 비트겐슈타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철학vs철학1

타율(heteronomy)

By 0

타율(heteronomy) → 자율/타율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911.

1 21 22 23 24 25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