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학(玄學)
현학(玄學) 중국 위진 시대의 형이상학적 사유 경향을 말한다. 『주역』, 『노자』, 『장자』라는 세 가지 경전을…
현존(現存, Dasein) 하이데거가 어떻게 인간을 사유하고 있는지를 보여 주는 개념이다. 혀존으로 번역되는 ‘Dasein’은 영어로…
현실원리(Realitätsprinzip, reality principle) → 쾌락원리/현실원리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916.
현실성(actualité, actuality) → 잠재성/현실성/실재성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916.
현상학(Phänomenologie, phenomenology) 20세기 초반 독일에서 “사태 자체로!”라는 표어로 시작되었던 새로운 철학적 사유 경향을 말한다.…
현량(現量, Pratyaşa)/비량(比量, Anumāna)/비유량(譬喩量, Upamāna)/성교량(聖敎量, Āgama) 불교를 포함한 인도 사유에서 네 가지 인식 방법으로 받아들였던…
허무주의(nihilism) 삶과 감정의 풍요로움을 긍정하지 못하고 그것을 저주하는 사유 경향이다. 플라톤에 따르면 소크라테스는 “철학은…
해체(deconstruction)/해체주의(deconstructionism) 동일성으로부터 차이를 구제하려는 20세기 후반기의 서양철학을 규정하는 개념이자 사유 경향이다. 해체라는 개념은 재기발랄한…
해방신학(theology of liberation) 예수로부터 시작되어 오컴, 베유, 그리고 남미의 신학자들을 관통하는 가장 혁명적인 기독교…
합리론(rationalism) 경험론과 함께 서양 근대철학을 양분했던 사유 경향이다. 경험론과는 달리 인간 경험보다는 인간 이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