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jhey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철학vs철학1

호명(interpellation)

By 0

호명(interpellation) 알튀세르에 따르면 특정 사회가 어느 벌거벗은 개인을 주체로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핵심적인 방식이다.…

철학vs철학1

형이상학(metaphysics)

By 0

형이상학(metaphysics)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은 모든 사물의 최종적인 근거를 탐구하거나 사물의 현상을 넘어서 사물의 본질이나 존재를…

철학vs철학1

형상(形相)

By 0

형상(形相) → 이데아/에이도스/~인 것 처럼/형상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917.

철학vs철학1

현학(玄學)

By 0

현학(玄學) 중국 위진 시대의 형이상학적 사유 경향을 말한다. 『주역』, 『노자』, 『장자』라는 세 가지 경전을…

철학vs철학1

현존(現存, Dasein)

By 0

현존(現存, Dasein) 하이데거가 어떻게 인간을 사유하고 있는지를 보여 주는 개념이다. 혀존으로 번역되는 ‘Dasein’은 영어로…

철학vs철학1

현실성(actualité, actuality)

By 0

현실성(actualité, actuality) → 잠재성/현실성/실재성 강신주, 『철학 vs 철학』(서울: 그린비, 2010), 916.

철학vs철학1

현상학(Phänomenologie, phenomenology)

By 0

현상학(Phänomenologie, phenomenology) 20세기 초반 독일에서 “사태 자체로!”라는 표어로 시작되었던 새로운 철학적 사유 경향을 말한다.…

철학vs철학1

허무주의(nihilism)

By 0

허무주의(nihilism) 삶과 감정의 풍요로움을 긍정하지 못하고 그것을 저주하는 사유 경향이다. 플라톤에 따르면 소크라테스는 “철학은…

1 19 20 21 22 23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