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tractualist Defense of the Two Domains of Morality
스캔런은 좁은 의미의 도덕과 넓은 의미의 도덕이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캔런의 계약주의가 주로 특징짓는 “우리가 서로에게 빚진 것”은 좁은 의미의 도덕에 해당하지만, 다른 종류의 가치, 즉 개인적 가치는 일반적으로는 넓은 의미의 도덕에 속한다. 그는 이런 주장을 도덕의 파편화라는 논제로 표현한다. 나는 넓은 의미의 도덕이 좁은 의미의 도덕과 어떻게 구별되는지 포괄적으로 설명하면서 이 논제를 더욱 정치하게 발전시킨다. 도덕의 파편화 논제는 도덕의 두 영역 사이에 충분히 유의미하고 합당한 구분이 가능함을 함축하지만, 라즈는 몇 가지 메타적 논증을 통해 그런 함축을 공격한다. 나는 라즈의 비판에 대하여 계약주의적 대응을 제시함으로써 도덕의 파편화 논제가 여전히 건재함을 보인다.
According to T. M. Scanlon, we must distinguish morality in a narrow sense from morality in a broad sense. While the morality of what we owe to each other, which Scanlon’s contractualism mainly characterizes, corresponds to the narrow domain of morality, what I call Personal Values generally belong to the broad domain of morality. Scanlon expresses this idea under the thesis of the fragmentation of the moral. I develop this thesis more fully by providing an account of how Personal Values are distinct from the morality of what we owe to each other. The fragmentation thesis means that there is a reasonable distinction between those two values, but some of the arguments presented by Joseph Raz call such a distinction into question. I provide a contractualist response to Raz’s attack and conclude that we still have good reason to accept this thesis.
대한철학회
고려대학교 성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