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 스포츠 산업론 |
1. 스포츠산업 진흥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스포츠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② 지방자치단체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업종별로 사업자단체를 설립할 수 있다.
③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스포츠산업의 육성과 기술개발을 위하여 스포츠산업 관련 상품의 품질 향상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④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선수의 권익을 보호하고, 스포츠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공정한 영업질서의 조성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2. 스포츠 브랜드가치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팀 성적 및 선수 등의 팀 관련요인은 프로구단의 브랜드가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② 프로구단의 연고도시 및 팬 지지도는 프로구단의 브랜드가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③ 리그의 수준은 구단 및 이벤트의 브랜드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④ 스포츠이벤트가 열리는 시설은 브랜드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3. 스포츠가 서비스로서 갖는 특성이 아닌 것은?
① 무형성
② 소멸성
③ 분리성
④ 동시성
4. 스포츠산업 진흥법령상 스포츠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에 보조할 수 있는 경비가 아닌 것은?
① 전문인력 양성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비용
② 전문인력 양성교육에 대한 조사ㆍ연구 비용
③ 교육자료의 개발 및 보급에 필요한 비용
④ 교육장소 부지 매입 및 교육장비 구입비용
5. 스포츠이벤트 생산자가 티켓 유통대행사를 선정할 때 유의할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대행사 선정 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 후보자와 현상한다. ㄴ. 티켓 대행사의 직원들의 상품생산자들의 내외부 상황요인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ㄷ. 티켓 대행사에 대한 감사권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ㄹ. 티켓 대행사가 소비자들에게 전가하는 비용을 통제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
① ㄱ, ㄷ
② ㄱ, ㄴ, ㄹ
③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ㄹ
6. 구매 후 부조화를 발생시키는 상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구매결정을 취소할 수 없을 때
② 선택하지 않은 대안이 단종 되었을 때
③ 선택하고 싶은 대안들이 여러 개 있을 때
④ 구매자가 심리적 중요성을 갖고 그 결정에 개입했을 때
7. 스포츠산업의 핵심제품인 스포츠이벤트의 브랜드가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스포츠이벤트의 방송중계권 가격 차이는 이벤트의 브랜드 가치 차이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② 스포츠이벤트의 브랜드가치를 형성하는 요인으로는 조직, 팀, 시장관련요인을 들 수 있다.
③ 스포츠이벤트에서 파생되는 동일한 유형의 사업권이라도 이름이 잘 알려진 이벤트와 덜 알려진 이벤트의 권리 구매가격에 차이가 있는 것도 브랜드가치 때문이다.
④ 스포츠이벤트에 참가하는 선수나 감독, 리그의 전통 등은 브랜드가치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8. Kotler가 제시한 5가지 제품 차원과 스포츠 제품의 예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기대제품(expected product) – 쾌적한 관람시설
② 확장제품(augmented product) – 스포츠용품 판매
③ 잠재제품(potential product) – 편리한 주차 시설
④ 기본제품(basic product) – 경기 관람을 통한 대리경험
9. 다음 중 스포츠산업의 발전을 위협하는 외부요인에 해당되는 것은?
① 프로축구의 선수 부족
② 온라인 게임 시장의 폭발적 인기
③ 헬스클럽의 우수한 프로그램 부족
④ 라이벌 프로야구팀의 FA선수 전원 흡수
10. 스포츠산업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단일 생산단위에 따라 특정산업 분류에 포함되는 산업이다.
② 공간과 입지조건이 선행되어야 하는 산업이다.
③ 시간소비형 산업이다.
④ 건강산업의 속성과 동시에 오락산업의 속성을 가진 산업이다.
11. 스포츠산업 진흥법령상 ( )안에 들어갈 숫자가 옳은 것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스포츠산업 진흥에 관한 기본적이고 종합적인 중장기 진흥기본계획을 ( )마다 수립·시행한다. |
① 1년
② 3년
③ 5년
④ 10년
12. 세계 각국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스포츠이벤트 유치를 위해 시설 등에 투자하여 얻고자 하는 혜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당 지역경제 활성화
② 해당 지역주민의 심리적 소득
③ 도시 이미지 강화
④ 기업 인지도 제고
13. 스포츠소비자의 구매경험과 관여도에 따른 구매의사결정에 대한 다음 표에 알맞은 내용이 아닌 것은?
구분 | 저관여 | 고관여 |
최초구매 | ㄱ | ㄴ |
반복구매 | ㄷ | ㄹ |
① ㄱ: 다양성 추구
② ㄴ: 복잡한 의사결정
③ ㄷ: 충동적 구매
④ ㄹ: 비교적 단순한 의사결정
14. 소비자 충성도에서 심리적 애착이 강하지만 여러 제약요인들로 참가가 낮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① 무 충성도(no loyalty)
② 잠재적 충성도(latent loyalty)
③ 진정한 충성도(true loyalty)
④ 거짓 충성도(spurious loyalty)
15.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에서 ‘스포츠서비스업(911)’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경기장 운영업
② 체력단련시설 운영업
③ 골프연습장 운영업
④ 유원지 및 테마파크 운영업
16. 스포츠 라이센스 상품 생산업체가 월드컵 공식공급업체 자격을 취득한 후 추진할 일련의 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ㄴ. 소비자 및 시장 환경 분석 ㄱ. 수요예측 ㄹ. 스포츠 상품 설계 ㄷ. 스포츠 상품 배치 ㅁ. 스포츠 상품 운영 ㅂ. 품질관리 |
① ㄱ→ㄴ→ㄷ→ㄹ→ㅁ→ㅂ
② ㄱ→ㄴ→ㄹ→ㄷ→ㅁ→ㅂ
③ ㄴ→ㄱ→ㄹ→ㄷ→ㅁ→ㅂ
④ ㄴ→ㄱ→ㄷ→ㄹ→ㅁ→ㅂ
17. 우리나라 스포츠산업 정책의 변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1990년 전까지는 스포츠산업체가 대부분 소규모 영세업체로 운영되었기에 정부로 부터 정책적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②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제정으로 민간 체육시설업의 효율적인 관리와 체계적인 육성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③ 제1차 국민체육진흥5개년계획은 ‘스포츠산업’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됨으로써 스포츠를 산업적 시각에서 다루었다.
④ 2000년대 스포츠산업 정책은 스포츠산업 육성대책(2001), 스포츠산업 비전 2010(2005), 2009~2013 스포츠산업 중장기계획(2008)이 있다.
18. 스포츠산업 진흥법령상 공유재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프로스포츠단과 협의한 경우에는 사용ㆍ수익 허가 기간 동안의 사용료 전부를 한꺼번에 징수할 수 있다.
② 연간 사용료는 시가(時價)를 반영한 해당 재산 평가액의 연 1만분의 20 이상의 범위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한다.
③ 연간 사용료가 1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 4회의 범위에서 분할납부하게 할 수 있다.
④ 프로스포츠단이 해당 체육시설을 직접 수리하는 경우 사용료를 감경ㆍ면제할 수 있다.
19. 스포츠용품 유통 경로 중 프랜차이징 시스템을 이용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맹점은 다른 가맹점을 통제할 수 있다.
② 가맹점 운영과 관련하여 본부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
③ 가맹점은 프랜차이즈 본부의 유명세로 광고ㆍ마케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④ 가맹점은 특정 지역 내에서는 독접영업권이 부여되는 이점이 있다.
20. 스포츠상품 중 참여스포츠 제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발리 휘트니스센터 이용권
② 동아마라톤 출전권
③ KPGA티칭프로 레슨프로그램
④ FC서울 프로축구단 경기 입장권
21. 스포츠산업 진흥법령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스포츠산업지원센터로 지정할 수 있는 기관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공공기관 운영의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ㄴ. 「특정연구기관 육성법」에 따른 특정연구기관 ㄷ. 「민법」에 따라 설립된 스포츠 분야의 법인 ㄹ. 「고등교육법」에 따른 전문대학 |
① ㄱ, ㄴ
② ㄱ, ㄷ, ㄹ
③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ㄹ
22. 스포츠조직의 프로퍼티를 활용하여 만든 확장제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스폰서십
② 중계권
③ 라이센싱
④ 경기관람권
23. 소비자로서 스포츠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접 스포츠에 참여하는 방법
② 경기장에 가서 스포츠를 관람하는 방법
③ 스포츠 이벤트를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매체를 통해 접하는 방법
④ 스포츠용품회사를 직접 설립하는 방법
24. 스포츠소비자의 요구를 기술적 특성과 연결시켜 스포츠제품에 반영하는 기법은?
① 품질기능전개(QFD)
② 동시공학(CE)
③ 가치분석(VA)
④ 가치공학(VE)
25. 스포츠소비자와 구입하는 상품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팬 – 로고 및 캐릭터 사용권
② 기업 – 경기 명칭 사용권
③ 경기연맹 – 경기(입장권)
④ TV방송국 – 스폰서십
2개의 댓글
It’s wonderful that you are getting ideas from this article as well as from our discussion made here.
Also visit my web blog – escrito invisível
I don’t know whether it’s just me or if perhaps everybody else experiencing issues with your blog.
It looks like some of the written text on your posts are running off
the screen. Can someone else please comment and let me know
if this is happening to them too? This may be a problem with my internet browser because I’ve had this happen previously.
Ch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