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김유정

내가 주재소에까지 가게 될 때에는 나에게도 다소 책임이 있을는지 모른다. 그러나 사실 아무리 고처 생각해봐도 나는 조곰치도 책임이 느껴지지 안는다. 복만이는 제 안해를 (여기가 퍽 중요하다) 제손으로 즉접 소장사에게 팔은것이다. 내가 그 안해를 유인해다 팔았거나 혹은 내가 복만이를 꼬여서 서루 공모하고 팔아먹은것은 절대로 아니었다.

우리 동리에서 일반이 다 아다싶이 복만이는 뭐 남의 꼬임에 떨어지거나 할 놈이 아니다. 나와 저와 비록 격장에 살고 숭허물없이 지내는 이런 터이지만 한번도 저의 속을 터말해본 적이 없다. 하기야 나뿐이랴 어느 동무구간 무슨 말을 좀 뭇는다면 잘해야 세마디쯤 대답하고 마는 그놈이다. 이렇게 구찮은 얼골에 내천짜를 그리고 세상이 늘 마땅치않은 그놈이다 오즉 하여야 요전에는 즈안해가 우리게 와서 울며 불며 하소를 다 하였으랴. 그 망할건 먹을게 없으면 변통을 좀 할 생각은 않고 부처님같이 방구석에 우두커니 앉었기만 한다고. 우두커니 앉었는것보다 싫은 말 한마디 속선히 안하는 그 뚱보가 미웠다. 마는 그러면서도 안해는 돌아다니며 양식을 (꾸)어다 (여)일히 남편을 공경하고 하는것이다.

이런 복만이를 내가 꼬였다 하는것은 번시가 말이안된다. 다만 한가지 나에게 죄가 있다면 그날 매매 계약서를 내가 대서로 써준 그것뿐이다. 점심을 먹고 내가 봉당에 앉어서 새끼를 꼬고 있노라니까 복만이가 찾아왔다. 한손에 바람에 나부끼는 인할지 한장을 들고 내앞에 와 딱스드니

「여보게 자네 기약서 쓸줄아나?」

「기약서는 왜?」

「아니 글세말이야!」하고 놈이 어색한 낯으로 대답을 주저하는것이 아니냐. 아마 곁에 다른 사람이 여렀이 있으니까 말하기가 거북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사날전에 놈에게 종용히 드른 말이 있어서 오 안해의 일인가보다 하고 얼뜬 눈치채었다. 싸리문밖으로 놈을 끌고 나와서 그 귀밑에다

「자네 여편네게 어떻게 됐나?」

「응」

놈이 단마디 이렇게만 대답하고는 두레두레한 눈을 굴리며 뭘 잠깐생각하는듯 하드니

「저 물건너 사는 소장사에게 팔기로 됐네 재순네(술집)가 소개를 해서 지금 주막에 와 있는데 자꾸네 기약서를 써야 한다구그래 그러나 누구 하나 쓸줄아는 사람이 있어야지 그래 자네게 써가주올테니 잠깐 기다리라구 하고 왔어 자넨 학교좀 단였으니까 쓸줄알겠지?」

 

1 2 3 4 5 6 7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