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공학에 대한 화자 의미 접근의 한계
Limitations of the Speaker Meaning Approach to Conceptual Engineering

 

최근 분석철학의에서 새로운 철학적 방법론으로 많이 논의되는 개념 공학은 종종 그것이 의미론적 외재주의와 충돌한다는, 소위 외재주의적 도전에 직면한다. 이 도전에 직면해 M. 핀더는 자신의 개념 공학에 대한 화자 의미 접근을 받아들일 경우 개념 공학은 화자 의미 차원에 관련되고 의미론적 외재주의는 의미론적 의미 차원에 관련되므로 이 둘이 양립 가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들은 핀더의 이런 주장이 정당화될 수 없음을 논증한다. 필자들의 논증이 옳다면 개념공학에 대한 화자 의미 접근은 핀더가 생각하는 성격을 갖지 못하거나 불가능하다.

Conceptual engineering, a concept widely discussed as a new philosophical methodology, often faces the so-called externalist challenge, which claims it conflicts with metasemantic externalism.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M. Pinder argues that if one adopts a speaker meaning approach to conceptual engineering, the two become compatible because conceptual engineering operates at the level of speaker meaning, while metasemantic externalism operates at the level of semantic meaning. In this paper, the authors argue that Pinder’s claim cannot be justified. If the authors’ argument is correct, the speaker meaning approach to conceptual engineering either does not have the character Pinder envisions or is impossible.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중앙대학교 이재호
중앙대학교 유승민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