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와 시간』의 결단한 현존재는 개인주의자인가 공동체주의자인가?
Is Resolute Dasein in Being and Time an Individualist or a Communitarian?
본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가 존재와 시간에서 본래적 실존의 가능성으로 제시한 결단성의 구체적인 모습과 존재적 의미를 개인주의적 성격과 공동체주의적 성격을 중심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결단성의 개인주의적 성격은 실존주의적 해석과 기독교적 해석에서 드러나며,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가 본래적 실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휘들, 세인의 평균적인 존재 방식과의 대비 그리고 결단성의 개별화 계기를 통해 지지된다. 결단성의 공동체주의적 성격은 아리스토텔레스적 해석, 초월론적 해석, 비트겐슈타인적 해석에서 드러나며, 존재와 시간에서 이루어지는 하이데거의 독특한 현존재 이해와 세인의 격차성에 사로잡힌 존재방식과의 대비 그리고 본래적 심려와 결속을 통해 지지된다. 이처럼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적 성격을 통해 결단성의 구체적인 모습을 이해함으로써 결단성에 대한 해석은 오히려 형식적인 모순과 딜레마에 빠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서로 정반대되는 두 해석이 모두 가능하다는 것은 하이데거의 결단성이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이분법적 도식을 넘어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으로 결단한 현존재의 고유한 존재가능성은 공동체와 결속되어 그 안에서만 현사실적으로 실현되고, 동시에 타인의 고유한 존재가능성도 실현한다. 다른 한편으로 결단한 현존재는 자신이 그 안에 내던져져 있는 현사실성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하여 자기 자신의 운명적이고 고유한 존재가능성으로 삼는다. 결단성은 그 안에서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적 실존 가능성이 단일한 사태로 종합되는 보다 근원적인 사태를 열어 밝히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concrete form and existential meaning of resoluteness, which Heidegger presents in Being and Time as the possibility of authentic existence, with a focus on its individualistic and communitarian aspects. The individualistic character of resoluteness is revealed through existentialist and Christian interpretations and is supported by Heidegger’s terminological choices in explicating authentic existence, the contrast with the average mode of being of the “They”, and the moment of individualization. The communitarian aspect of resoluteness is found in Aristotelian, transcendental, and Wittgensteinian interpretations, and is supported by Heidegger’s unique understanding of Dasein in Being and Time, its contrast with the distantiality of the “They” and authentic solicitude and boundness. By understanding the concrete form of resoluteness through these individualistic and communitarian aspects, the interpretation for resoluteness appears to fall into formal contradictions and dilemmas. However, the possibility of these two seemingly opposite interpretations implies that Heidegger’s concept of resoluteness transcends the dichotomous framework of individualism versus communitarianism. On one hand, the authentic possibility of resolute Dasein is factically actualized only within a community into with it is bounded and simultaneously facilitates the realization of the authentic possibilities of others. On the other hand, resolute Dasein actively reconstructs the facticity into which it thrown to take it over as its fateful and unique possibility of existence. Resoluteness thus reveals a more primordial state in which individualistic and communitarian existential possibilities converge into a unified phenomen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서울대학교 조형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