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적 고려는 믿음의 동기적 이유가 될 수 있는가?
Can Practical Considerations Be Motivating Reasons for Belief?
실용주의자들은 실천적 고려가 행위뿐만 아니라 믿음에 대해서도 규범적 이유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거부하는 증거주의자들의 대표적인 논증은 실천적 고려는 증거 없이는 믿음을 추동할 수 없으므로, 이는 믿음에 대해 동기적 이유가 될 수 없고 따라서 믿음에 대해 규범적 이유도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리나드는 이에 맞서, 증거 없이 무엇인가를 믿도록 추동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증거주의자들의 가정을 받아들여도 실천적 고려가 믿음의 동기적 이유로 기능하는 경우가 여전히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리나드는 크게 두 주장을 한다. 첫째, 증거는 믿음을 불러일으킨 것에 대해 단순히 원인으로서만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증거는 믿음의 설명적 이유이긴 하지만 동기적 이유는 아니다. 둘째, 증거가 주체의 믿음에 대해 가능화 조건의 역할을 하면, 주체는 증거가 아닌 실천적 고려를 바탕으로 믿음의 귀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천적 고려는 주체의 믿음의 동기적 이유가 된다. 이 독창적인 주장들은 만약 사실이라면 실용주의자들과 증거주의자들 사이의 논쟁을 해소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리나드가 제시한 주장들을 평가하고, 증거주의자들의 반론으로부터 실용주의를 옹호하는 데 있어서 어떤 지점에서 그 성공 여부가 갈리는지를 명확히 한다.
Pragmatists argue that practical considerations can function as normative reasons not only for actions but also for beliefs. In contrast, evidentialists reject this view, typically arguing that practical considerations cannot serve as normative reasons for belief because, in the absence of evidence, they cannot motivate belief. That is, since practical considerations cannot function as motivating reasons for belief, they cannot be normative reasons either. In response, Rinard seeks to show that even if we accept the evidentialist assumption that one cannot be motivated to believe something without evidence, there can still be cases in which practical considerations function as motivating reasons for belief. To this end, she advances two main claims. First, evidence can function merely as a cause of belief rather than as a motivating reason. In such cases, evidence is an explanatory reason but not a motivating one. Second, when evidence plays the role of an enabling condition for belief, the agent may attribute the belief not to the evidence but to a practical consideration. In such cases, the practical consideration is the motivating reason for the agent’s belief. If correct, these novel claims coul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resolving the longstanding debate between pragmatists and evidentialists. In this paper, I evaluate Rinard’s arguments and clarify where her defense of pragmatism succeeds or fails in response to the evidentialist challenge.
한국논리학회, 성균관대학교 박성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