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 정신적 본질
Spiritual Essence of the Spirit
「정신적 동물의 왕국과 기만 또는 사태 자체」 부분은 헤겔 「정신현상학」 중에서도 가장 해독되기 어려운 부분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의 왕국이 자본주의 사회를 의미한다는 해석부터, 작품이라는 용어가 예술가와 지식인들의 생산물을 의미한다는 해석, 그리고 최근에는 헤겔 행위철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부분으로 조명받기도 했다. 본 논문은 다음 세가지 원칙하에 「정신적 동물의 왕국과 기만 또는 사태 자체」가 정신의 정신적 본질에 대한 논의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첫째, 헤겔의 행위 개 념을 「정신적 동물의 왕국과 기만 또는 사태 자체」의 해석의 중심에 놓고자 한다. 「정신적 동물의 왕국과 기만 또는 사태 자체」의 초반부에 서 논의되는 행위 개념이 그 이후의 사태 자체에 대한 논의에도 전제 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둘째, 행위 개념과 함께 「정신적 동물의 왕 국과 기만 또는 사태 자체」에서 헤겔이 밝히고자 하는 주요 대상이 정신적 본질(das geistige Wesen)임을 입증할 것이다. 셋째, 「정신현상학」이 “의식의 경험의 학”이기는 하나, 「정신적 동물의 왕국과 기만 또는 사태 자체」에서는 의식의 경험과 함께 헤겔이 우리들 독자에 대해서(für uns) 서술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자의 정확한 구분을 통해서 전체 텍스 트에 대한 정합적인 해석을 하고자 한다.
The section “The Spiritual Kingdom of Animal and Deception; or the Crux of the Matter” is known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s to decipher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Interpretations range from viewing the animal kingdom as representing capitalist society, to understanding the term “work” as referring to the productions of artists and intellectuals. Recently, it has also been highlighted as a crucial part in understanding Hegel’s philosophy of action.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this part is a discussion about the spiritual essence of spirit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principles. First, it places Hegel’s concept of action at the center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Spiritual Animal Kingdom and Deceit, or the Crux of the Matter.” It will show that the concept of action discussed at the beginning of this part is also presupposed in its subsequent discussion. Second, it will demonstrate that the main subject Hegel intends to reveal in it alongside the concept of action is the spiritual essence (das geistige Wesen). Third, while “Phenomenology of Spirit” is a science of the experience of consciousness, this part discusses not only the experience of consciousness but also Hegel’s description for us (für uns), the readers, which plays a significant role. Through the precise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it aims to provide a coherent interpretation of the entire text.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세종대학교 이석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