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에서 온화와 명예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ildness and Honor in Aristotle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속 온화를 중심으로, 온화한 사람이 분노하는 이유를 탐구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분노와 관련 된 덕으로 온화를 제시한다. 그는 온화한 사람이 분노하지 않는 사람이 아니라, 마땅히 분노할 만한 상황에서는 분노하는 사람이라고 설명한 다. 따라서 어떤 상황이 분노할 만한 사안인지에 대한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다. 분노는 모욕에서 비롯되며, 이는 사회적 가치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필자는 온화가 사회적 가치, 특히 명예와 연결된다 는 점을 밝힌다. 또한, 이를 통해 아리스토텔레스가 설명하는 ‘진정한 명예’가 무엇인지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온화한 사람이 분노하는 이유 가 ‘진정한 명예’와 관련됨을 주장한다. 온화한 사람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진정한 명예와 공동체 생활을 위 해서 분노를 표현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a mild person becomes angry, focusing on Aristotle’s account of mildness. Aristotle presents mildness as the virtue concerned with anger. He asserts that a mild person is not one who refrains from anger but rather one who becomes angry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Thus, a precise clarification of the just grounds for anger is necessary. According to Aristotle, anger arises from insult, which is intrinsically linked to social valu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lucidates the connection between mildness and social values, particularly honor. Furthermore, it analyzes Aristotle’s conception of ‘true honor.’ Finally, it argues that the mild person expresses anger not out of attachment to social status but for the sake of true honor and the well-being of the community.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경희대학교 조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