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유교와 동성결혼 -젠더와 가족의 새로운 가능성-
Contemporary Confucianism and Same-Sex Marriage -New Possibilities for Gender and Family-

 

본 논문은 동성결혼을 둘러싼 현대 유교 이론가들의 찬반 논쟁을 중심으로 유교 담론 내 젠더와 가족 구조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 동성결혼 합법화 반대 및 제한론자들은 전통적 가족 구조와 성역할을 옹호하며 동성결혼이 사회 질서와 인류의 영속을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찬성론자들은 유교적 가족 모델을 보다 유연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동성결혼이 구성원 간 관계를 재정의하고 현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논쟁을 젠더와 가족 구조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대 유교가 이를 어떻게 재구성하고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 적응할 수 있을지를 조망한다.

This article explores new possibilities for understanding gender and family structures within contemporary Confucian discourse by analyzing debates on same-sex marriage among Confucian scholars. Opponents and limited approvers of same-sex marriage emphasiz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and gender roles, arguing that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will undermine social order and human continuity. In contrast, proponents advocate for more flexible and modern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family values, suggesting that same-sex marriage can redef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lign with contemporary societal demands.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debates, this study examines how contemporary Confucianism can reconstruct gender and family relations to adapt to evolving social conditions.

한국철학회,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이수빈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