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은 크게 성문법(成文法)과 불문법(不文法)으로 나눌 수 있다.

성문법은 객관적 입법기관이 일정한 객관적 형식과 절차에 따라 법규칙을 문서로서 제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1. 성문법

• 개념 : 법의 중심적 존재형식이 성문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를 말한다.

– 장점 : 법의 존재가 명확하고 법체계의 통일 및 정비가 용이하므로 법적 질서가 안정적이다, 법의 의미와 내용이 명확하여 법을 구체적으로 시행하기에 적합하다.

– 단점 :  법의 경화(硬化)로 유동적인 사회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렵다, 법의 기술화로 말미암에 법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

 

• 함무라비 법전 : 고대 바빌로니아 제1완조 제6대 왕 함무라비 왕이 B.C. 1750년경 제정한 세계 최초의 성문법이다. 함무라비 법전은특이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동해보복의 원칙, 즉 ‘탈리오 법칙(lex falionis)’으로 유명하다.

 

• 종류 : 국가 최고법인 헌법을 비롯하여 법률, 명령, 규칙, 조례, 조약 등이 있다.

– 헌법 : 국가의 조직 및 작용, 국가와 국민의 관계 및 기본권에 대하여 정하고 있는 국가 최고의 기본법이다.

– 법률 : 넓은 의미에서는 법 일반을 의미하나, 좁은 의미로는 입법기관인 국회에서 제정하는 성문법을 말한다.

– 명령 : 국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고 행정기관에 의하여 제정되며 법률보다 하위에 있다. 대통령령(시행령), 총리령 · 부령(시행규칙)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규칙 : 행정기관의 내부질서를 규율하기 위하여 제정되는 행정규칙(훈령, 지시, 예규 등)을 의미하며, 그 밖에 헌법에 따라 규칙 제정권이 부여된 법규(국회규칙—제64조, 제1항, 대법원규칙—제113조 제2항,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제114조 제6항)를 말한다.

– 조례 · 규칙(차지법규) : 지방의회가 법령의 범위 내에서 제정하는 자치에 관한 규정을 조례라고 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제정하는 규정을 규칙이라고 한다.

 

• 조약 및 국제법규
조약은 문서에 의한 국가 간의 명시적 합의를 말한다. 우리나라 헌법 제6조 제1항에서는 “헌법에 의하여 체결 · 공포된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 법률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명령

– 헌법 제76조 : 대통령은 내우 · 외환 · 천재 · 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 · 경제상의 위기에 있어서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고 국회의 집회를 기다릴 여유가 없을 때에 한하여 최소한으로 필요한 재정 · 경제상의 처분을 하거나 이에 관하여 법률의 효력을 가지는 명령을 발할 수 있다.

– 대통령은 국가의 안위에 관계되는 중대한 교전상태에 있어서 국가를 보위하기 위하여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고 국회의 집회가 불가능한 때에 한하여 법률의 효력을 가지는 명령을 발할 수 있다.

 

• 규칙과 자치법규로서의 규칙

– 규칙 : 헌법이나 법률에 근거하여 정립되는 성문법의 한 형식이다. 우리나라 헌법은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규칙제정권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국회규칙, 대법원규칙,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규칙 등은 법적 성질은 명령이서 규칙이라고 불린다.  또한 감사원 규칙, 공정거래위원회 규칙 등 법률에 의해 그 제정이 인정되는 규칙이 있다.

– 자치법규로서의 규칙 :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하는 자치법규로서의 규칙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법령 또는 조례가 위임한 범위 안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에 관하여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에 관하여 제정한 것이다. 지방자치법 제29조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법령이나 조례의 범위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에 관하여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조례가 주민의 대표기관은 지방의회 의결을 거쳐 제정되는 것인데 비해, 규칙(자치법규)은 지방자치단체 집행기관의 장에 의해 단독으로 제정된다는 점에서 제정 절차가 조례와 다르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