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仁)의 확장에 관한 교육학적 탐구: 주자 인사상의 이론 정립 과정을 중심으로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xpansion of Ren(仁) in Zhu-zi(朱子)’s thought
우버들
동양미래대학교
교육철학연구
2024, vol.46, no.1, 통권 103호 pp. 147-168 (22 pages)
한국교육철학학회
초록
본 논문은 인의 영역이 개체적 덕목에서 온전한 덕성으로 확장되고, 인의 대상이 특정 지도자에서 일반인으로 확대되는 측면을 살펴보고, 이에 나타난 교육학적 함의를 논구하였다. 즉, 인의 영역과 대상의 확장에 따른 교육학적 탐구가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먼저, 인의 영역이 개체적 덕목에서 온전한 덕성으로 확장되는 양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초기에 인은 의(義), 예(禮), 지(智), 신(信) 등과 같은 위계의 개체적 덕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과도기를 거쳐 점차 다른 덕목에 우선하는 보편 덕으로 모습을 보이며 주자에 이르러 인은 불교와 도교의 우주본체론을 흡수하여 온전한 덕성으로 확립되었다. 인이 우주자연의 태극의 지위와 대응되는 리일분수(理一分殊)의 양상을 통해, 온전한 인이 개별 덕을 통합하고 근본이 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이 내재된 대상이 소수의 지도자에서 일반 사람으로 확대되는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자 이전의 인은 높은 계층의 사람에게만 보이는 폐쇄적이고 제약적인 특징을 보였지만, 공맹에 이르러 점차 일반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재되어 있는 본성으로 확립된다. 그리고 주자에 의해 사람의 본성은 곧 하늘의 이치[性卽理]라는 개념을 통해 보편성을 획득하며, 성과 정을 통합하는 마음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의 영역 및 대상이 확장됨에 따라 온전성, 내재성을 가지게 된 인의 교육학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모든 덕을 포괄하는 인의 온전성으로 인해 교육이 필요하게 됨을 서술하였다. 일반 사람은 혼자서 온전한 인을 실천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먼저 깨달은 자인 선각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대두되었다. 또한, 인을 가질 수 있는 대상이 일부에서 모든 사람으로 확대되어, 인이 교육의 영역에 포함되고 마음만 먹으면 인을 발현할 수 있다는 교육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주체적인 자발성을 가질 때 자신을 위한 공부인 위기지학을 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교육의 대상이 소수 지도자에서 일반 사람으로 확대되고, 교육의 목적이 지도자 양성에서 자기 완성을 위한 것으로 변화됨에 따라 교육 기회의 평등적 의미를 가지게 됨을 논의하였다.
As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Ren, the integrity and immanence of Ren were discussed. In the beginning, the integrity of Ren as an extens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amined. Ren(仁) was used to imply only individual virtues before Confucius, but from the time of Confucius, it can be seen that it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complete virtue that encompassed several individual virtues. Then, we discuss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of Ren(仁). The inherent subject of Ren(仁) was limited to a special leader, but from the time of Confucius, the subject has been universalized to ordinary people with virtue. The necessity of education are explored in the integrity of Ren(仁) as seen abov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practice Ren(仁) alone, the role of teachers as pioneers is necessary. An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re explored in the immanence of Ren(仁). It was discussed that when learners have independence, they can do wigijihak(爲己之學), which is self-organiza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growth of integrity and the expansion of immanence of humanity are examined. The target of education was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changed to self-completion. This ha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