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선일체를 강조한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 →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을 위해 1937년 이후에 추진

• 국민 총력 조선 연맹이 발행한 회보가 제시, 중일전쟁 이후 사회 통제 → 1930년대 이후 민족 말살 통치 시기

• 미쓰야 협정을 체결하였다 → 1925년

•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 → 1910년대(1910~1918)

•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 → 1924년

• 헌병 경찰 제도를 시행 → 1910년대 무단 통치 시기

•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은 1941년에 공포되었다

• 일제는 경제 대공황을 극보하기 위해 1931년 만주 사변을 시작으로 침략 전쟁을 감행하였다.

• 1937년 중일전쟁을 계기로 전선이 크게 확대되어, 전쟁에 대한 한국인의 적극적인 협력이 피요해졌다.

• 이에 일제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하고 일본으로 개조하기 위해 황국신민화 정책(황국 신민 서사 암송 강요, 신사참배 강요, 창씨개명)을 추진하였다

• 또한 국가총동원법을 1938년 반포하여 한국에 대한 인적, 물적 자원 수탈에 힘썼다

• 여자 정신 근로령을 공포하였다 → 1944년

• 육군 특별 지원병제를 실시 → 1938년

• 식량 배급 및 미곡 공출 제도를 시행하였다 → 1939년

•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통해 독립운동을 탄압하였다 → 1941년

• 일제는 1912년 식민 통치에 필요한 재정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토지 조사령을 제정하고 토지 조사 사업에 착수하였다

•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 1908년

• 한일 간의 관세 철폐움직이 나타나 일본의 자본과 상품이 한반도에 밀려 들어올 조짐이 보이자 1920년대 조만식, 이상재 등은 민족 산업과 자본을 육성하여 민족 경제의 자립을 이루자는 물산 장려 운동을 전개하였다

• 메가타의 주도로 화폐 정리 사업이 실시되었다 → 1905년

• 회사 설립을 허가제로 하는 회사령이 공포되었다 → 1910년

• 황국중앙 총상회의 상권 수호 운동이 전개되었다 → 1898년

• 조선총독부가 조선 관세령 폐지를 방표하였다 → 1923년

• 식량 부족, 조선인들이 생산한 쌀을 내지로 반출, 만주산 잡곡의 수입이 증가 → 산미 증식 계획(1920~1945)

• 산미 증식 계획으로 쌀의 생산량에 비해 일본으로의 반출량이 더 많았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만주에서 잡곡을 수입하여 먹어야 했다

• 화폐 정리 사업의 결과 → 일본이 대한 제국의 재정과 금융을 장악하였다

• 보안회의 견제적 구국 운동 →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저지(1904)

• 방곡령이 선포된 지역의 분포 → 1880년대 후반부터 1890년대 전반까지 함경도와 황해도 등지에 선포되었다

• 동양 척식 주식회사의 설립 과정 → 일본은 대한 제국의 토지를 일본인에게 싼값에 판매하기 위해 설립

• 임병찬이 고종의 밀지를 받다 조직 → 독립 의군부(1912)

• 정우회 선언의 영향으로 결성되었다 → 신간회(1931, 상해)

• 일제가 꾸며 낸 105인 사건으로 해체되었다 → 신민회(1907)

• 일제가 치안 유지법을 적용하여 탄압하였다 → 1920년대 독립운동가

• 백산 상회를 통해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독립 의군부는 임병찬이 고종의 밀명으로 유생들을 규합하여 1912년 조직한 국내 비밀 결사 단체로, 복벽주의를 추구하고, 국권 반환 요구서의 발송과 의병 전쟁을 계획하였다

• 삼원보, 서로 군정서 → 서간도 지역(남만주)

• 해조신문을 발간하여 국권 회복에 힘썼다 →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 서간도에서는 신민회의 주도하에 신흥 강습소가 세워져 독립군 양성에 기여하였다

• 대한인 국민회를 조직하여 외교 활동을 펼쳤다 →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의 독입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 대조선 국민 군단을 창설하여 군사 훈련을 하였다 → 미국 하와이 지역의 독립운동

•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2.8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 일본 도쿄 지역의 독립운동

• 대한 국민 의회, 대한 광복군 정부 →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