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민간경비와 공경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영역이 뚜렷하고 확실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② 범죄와 관련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역할은 유사하다.
③ 민간경비와 공경비 모두 의뢰자로부터 받은 대가 내지 보수만큼만 자신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④ 사회가 다원화되면서 민간경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42. 민간경비의 성장에 관한 이론적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제환원이론은 경기변동의 영향을 받아 민간경비가 성장한다는 이론이다.
② 공동생산이론은 경찰과 민간이 치안서비스를 공동으로 생산한다는 이론이다.
③ 공동화이론은 공경비 자원의 한계로 발생하는 치안서비스 수요의 공백을 민간경비가 채워준다는 이론이다.
④ 이익집단이론은 공동화이론과 유사하나 공경비가 독립적 행위자로서의 고유영역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한 이론이다.
43. 수익자부담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찰의 근본적 역할 및 기능은 개인의 안전과 사유재산의 보호에 있다는 일반적 통념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출발한다.
②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찰의 공권력 작용은 질서유지와 체제수호와 같은 거시적 역할 및 기능에 한정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③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개인이나 집단의 안전과 보호는 결국 해당 개인이나 집단이 담당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④ 경기침체에 따른 국민소득 감소 및 치안비용 부담의 증가와 함께 주장되었다.
44. 각국의 민간경비산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미국은 제2차세계대전 중 전쟁수요에 힘입어 한층 더 확대되었다.
② 일본은 1964년 동경올림픽과 1970년 오사카만국박람회 개최 후 급속하게 발전하였다.
③ 한국은 1960년대 경제발전과 더불어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④ 독일은 1990년대 통일 후 치안수요의 증가로 인해 양적으로 확산되었다.
45. 미국의 민간경비 발전과정에 기여한 인물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포프(A. Pope) ㄴ. 브링크(W. Brink) ㄷ. 허즈버그(F. Herzberg) ㄹ. 웰즈(H. Wells) |
① ㄱ, ㄷ
② ㄱ, ㄴ, ㄹ
③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ㄹ
46. 민간경비의 민영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가권력의 시장개입을 비판하고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신자유주의적 흐름을 반영한다.
② 공경비의 일부 활동을 민간에 이전하여 민간경비로 전환하는 것도 민영화이다.
③ 민영화는 모든 부문에서의 배타적 자율화를 의미하며 국가권력의 개입이 전적으로 배제된다.
④ 대규모 행사의 안전관리에 참여하여 공권력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도 민영화이다.
47. 민간경비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규환제도(Hue and Cry)는 범죄 대응 시 시민의 도움을 의무화하였다.
② 레지스 헨리시 법(The Legis Henrici Law)은 모든 범죄를 국왕의 안녕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보았다.
③ 보우가 주자들(Bow Street Runners)의 운영을 통해 범죄예방에 있어서 시민의 자발적 단결이 중요시되었다.
④ 핑커튼(A. Pinkerton)은 민간경비회사가 노사분규에 지속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정당화하고 지지하였다.
48. 우리나라 민간경비의 발전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50년대 주한미군에 대한 군납경비의 형태로 태동하였다.
② 1960년대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경비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청원경찰법이 제정되었다.
③ 1970년대 용역경비업법이 제정되면서 민간경비는 제도적 틀에서 보호받기 시작하였다.
④ 1980년대 대기업이 민간경비산업에 진출하면서 무인경비시설이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49. 우리나라 민간경비산업의 미래에 관한 예측으로 옳은 것은?
① 고객의 수가 증가하면서 모든 경비업체의 매출이 증가할 것이다.
② 정보화사회의 발전에 따른 첨단범죄의 증가로 이에 대응하는 민간경비의 전문성이 요구될 것이다.
③ 대규모 주상복합시설이 등장하면서 범죄라는 위험에 집중할 수 있는 단일대응체계가 확립될 것이다.
④ 대기업의 참여가 감소하면서 참여주체가 중소기업으로 전환될 것이다.
50. 각국 민간경비의 법적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미국은 주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규제가 이뤄지다보니 주에 따라 민간경비업의 규제방식과 실태가 다르다.
② 일본은 경비업법 제정을 통하여 민간경비업에 대한 규제사항을 정립하고 안전사회의 기반을 형성하는 산업으로 발전하였다.
③ 호주는 독립된 ‘민간경비산업위원회(Security Industry Authority)’를 통하여 민간경비업을 통합 및 규제한다.
④ 한국에서 민간경비원은 사법(私法)적 규율의 대상이므로 사인(私人)적 지위에 불과하다.
51. 우리나라 치안환경의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범죄 및 노인대상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② 전체적으로 도시와 농촌 간의 범죄 발생차이가 적어 통일적인 치안활동이 요구된다.
③ 다문화 사회 및 인구구조의 글로벌화로 외국인 근로자 및 불법체류자 등에 의한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④ 빈부격차의 심화와 사회 해체적 범죄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52. 우리나라 민간경비와 경찰의 협력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역방범활동 협력 강화
② 상호 정보교환 네트워크 구축
③ 공공안전과 관련된 교육훈련 등의 지속적 교환
④ 경찰의 민간경비 겸업화
53. 민간경비업무의 자격증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미국은 대다수 주에서 민간경비 서비스에 대한 자격증제도를 두고 있으며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② 일본은 6개 경비업무 영역에 걸쳐 자격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③ 한국은 청원경찰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청원경찰이 되기 위해서는 경비지도사 자격증을 소지하여야 한다.
④ 민간경비업무 관련 자격증제도는 경비원의 업무능력 유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적절한 경비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54. 기계경비의 장ㆍ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계경비를 운영하는 경우 잠재적 범죄자에 대한 예방 효과는 미미하다.
② 장기적으로 경비 소요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온다.
③ 기계경비를 너무 맹신하였을 때 범죄자에게 역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④ 외부 침입을 정확하게 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55. 우리나라 호송경비업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1995년 경비업법 개정으로 도입되었다.
② 경비인력 기준은 무술유단자인 일반경비원 3명 이상, 경비지도사 1명 이상이다.
③ 운반 중에 있는 현금ㆍ유가증권ㆍ귀금속ㆍ상품 그 밖의 물건에 대하여 도난ㆍ화재 등 위험발생을 방지하는 업무를 의미한다.
④ 업무수행을 위해 관할경찰서의 협조를 얻고자 하는 때에는 현금 등의 운반을 위한 도착 전일까지 도착지의 경찰서장에게 호송경비통지서(전자문서로 된 통지서를 포함한다)를 제출하여야 한다.
56. 계약경비와 자체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자체경비는 경비부서에서 오래 근무함으로써 회사운영, 매출, 인사 등에 관한 지식이 높아 여러 부분에서 계약경비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② 계약경비는 자체경비에 비해 고용주나 회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충성심이 높다.
③ 계약경비는 자체경비에 비해 비상시 인적자원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④ 자체경비는 인사관리 측면에서 결원의 보충이 용이하다.
57. 혼잡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본은 경비업법 제2조 2호 업무에 혼잡경비를 규정하고 있다.
② 한국은 시설경비업무 등을 통하여 혼잡경비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③ 혼잡경비는 각종 행사를 위해 모인 불특정 군중에 의해 발생되는 혼란 상태를 사전에 예방ㆍ경계하고, 위험한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조치해 확대를 방지하는 경비활동이다.
④ 혼잡경비업무의 대상은 장소와 시설에 국한된다.
58. 민간경비의 교육훈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습득, 일반능력 개발, 가치관의 발전적 변화를 촉진하는 계획적 활동이다.
② 조직적 통제와 조정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③ 경영적 측면에서는 경영전략의 전개에 필요한 인력의 확보, 기업문화의 전승을 위해서 실시되는 것이다.
④ 개인적 측면에서는 개개인이 보유한 잠재능력을 개발ㆍ육성하고, 직장생활 능력 및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전인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59. 경비업법상 경비원 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특수경비원의 교육시 관할 시ㆍ도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이 교육기관에 입회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도ㆍ감독하여야 한다.
② 경비업자는 경비업무를 적정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경비원으로 하여금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경비원 신임교육 및 직무교육을 받게 하여야 한다.
③ 경비원이 되려는 사람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교육기관에서 미리 일반경비원 신임교육을 받을 수 있다.
④ 특수경비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특수경비원으로 하여금 특수경비원 신임교육과 정기적인 직무교육을 받게 하여야 한다.
60. 민간경비원의 윤리의식 제고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선발기준 완화
② 직업윤리의 법제화
③ 법령 준수의식 제고
④ 직무교육 강화
61. 경비업법령상 일반경비지도사 자격취득 교육과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특수경비
② 체포ㆍ호신술
③ 기계경비개론
④ 인력경비개론
62. 경비위해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연적 위해에는 홍수, 폭풍, 지진 등이 있다.
② 경비위해요소 분석단계는 위해요소 인지, 손실발생 예측, 위해정도 평가, 비용효과분석순이다.
③ 인위적 위해란 특정 지역 및 국가 등에 따라 성질이나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위해이다.
④ 효과적인 경비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경비위해요소 조사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63. 경비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물에는 정교하면서도 파손되기 어려운 잠금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② 경비실은 출입구와 비상구에 인접한 곳에 설치해야 한다.
③ 경비계획 과정에는 관련 분야나 계층의 충분한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④ 경비진단결과 나타난 손실발생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64. 일정한 형식이 전혀 없는 외부와 내부의 이상행동 및 침입을 감지하고 저지, 방어, 대응공격을 위한 경비수준은?
① 하위수준 경비(Level-Ⅱ)
② 중간수준 경비(Level-Ⅲ)
③ 상위수준 경비(Level-Ⅳ)
④ 최고수준 경비(Level-Ⅴ)
65. 외곽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경비조명은 시설물에 대한 감시활동보다는 미적인 효과가 더 중요하다.
② 건물의 측면이나 후면 등 눈에 잘 띄지 않는 건물외벽에는 주기적인 순찰과 함께 CCTV 등 감시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③ 건물자체에 대한 경비활동으로 건물에 대한 출입통제, 출입문ㆍ창문에 대한 보호조치 등을 말한다.
④ 각종 잠금장치를 활용하여 범죄자의 침입시간을 지연시킨다.
66. 감시시스템 장치인 CCTV는 무엇의 줄임말인가?
① Closed Cycle Television
② Closed Circle Television
③ Closed Circuit Television
④ Closed Construction Television
67. 보호지역 중 비밀 또는 주요 시설에 대한 비인가자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를 받아 출입하여야 하는 장소는?
① 제한지역
② 제한구역
③ 통제지역
④ 통제구역
68. 비상상황 발생 시 경비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상계획서를 작성하고 책임자를 지정한다.
② 상황에 따라 필요시 보호 우선순위에 의한 안전을 확보한다.
③ 탈출 시 발생하는 혼란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구와 비상구를 확실하게 장악하고 통제한다.
④ 인파가 무질서한 경우가 많으므로 적절한 안내와 통솔을 통하여 질서를 도모한다.
69. 화재발생 시 경비원의 피난유도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초고층 빌딩 등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엘리베이터는 사용하지 않는다.
② 연기가 상승하는 속도는 사람이 계단을 오르는 속도보다 느리므로 반드시 옥상으로 유도한다.
③ 피난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사람들을 분산하여 혼란을 방지하고 위험장소에 있는 자가 조기에 피난할 수 있도록 한다.
④ 화재층을 기준으로 화재층, 상층, 하층 순으로 피난시킨다.
70. 사고발생 시 경비원의 현장보존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현장의 모든 물건은 증거확보를 위해 보존이 용이한 곳으로 옮겨 보관한다.
② 현장을 중심으로 가능한 한 좁은 범위를 보존범위로 정하여 확보한다.
③ 현장에 담배꽁초나 휴지가 있으면 청소하여 청결을 유지한다.
④ 현장보존의 범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신속히 퇴장시킨다.
71. 신종금융범죄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파밍(Pharming) –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용자 PC를 조작하여 금융정보를 빼내는 행위
② 피싱(Phishing) – 가짜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여 은행 계좌정보 등을 불법적으로 알아내 이를 이용하는 행위
③ 메모리해킹(Memory Hacking) – 악의적인 내용을 담은 전자우편을 인터넷상의 불특정 다수에게 무차별로 살포하여 온라인 공해를 일으키는 행위
④ 스미싱(Smishing) – 문자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를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행위
72. 컴퓨터 범죄의 특성 중 범행의 연속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행위자가 조작방법을 터득한 이상 임의로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조작행위가 빈번할 수 있다.
② 프로그램을 부정 조작해 놓으면 자동ㆍ반복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③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범죄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미칠 경우가 많다.
④ 발각이나 사후증명을 피하기 위한 수법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어 범행 발견과 검증이 곤란하다.
73. 컴퓨터의 부정조작 중 입력조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개개의 명령을 변경 혹은 삭제하거나 새로운 명령을 삽입하여 기존의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
② 입력될 자료를 조작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거짓처리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
③ 프로그램이 처리할 기억정보를 변경시키는 것
④ 특별한 컴퓨터지식이 없어도 되며 올바르게 출력된 출력인쇄를 사후에 변조하는 것
74. 컴퓨터 범죄의 예방대책 중 관리적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무권한의 명확화
② 스케줄러 점검
③ 엑세스 제도
④ 데이터의 암호화
75. 컴퓨터에 대한 물리적 접근통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소한의 출입구만 설치하며, 그 출입구에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② 퇴직하거나 해고된 직원이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자물쇠와 열쇠를 바꾼다.
③ 허가된 사람에 한해서는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접근권한의 갱신은 정기적으로 할 필요가 없다.
④ 출입구는 2중문 시설을 갖추어 전자장치로 출입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76. 청원경찰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청원경찰은 무기휴대가 불가능하다.
② 청원경찰의 경비는 청원주가 부담한다.
③ 청원경찰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이다.
④ 배치된 시설 또는 기관의 장이나 지역을 관할하는 경찰서장의 감독을 받아 해당 경비구역 내에서 직무를 수행한다.
77. 경비업법 개정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99년 용역경비업법에서 경비업법으로 변경되었다.
② 2001년 특수경비업무가 추가되었다.
③ 2009년 특수경비원 연령상한을 58세에서 60세로 연장하였다.
④ 2013년 누구든지 경비원으로 채용되기 전에도 개인적으로 일반경비원 신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78. 융합보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리보안요소와 정보보안요소를 상호 연계하여 보안의 효과성을 높이는 활동이다.
② 정보보안요소에는 출입통제, 접근감시, 잠금장치 등이 있다.
③ 인적자원 보안, 사업 연속성, 위험관리, 재난복구 등을 논리적, 물리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④ 물리적 보안장비 및 각종 재난ㆍ재해 상황에 대한 관리까지 포함한다.
79. 우리나라 민간경비업의 문제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근 기계경비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인력경비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② 민간경비업체는 충분한 자본을 바탕으로 꾸준한 매출을 올리는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영세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③ 경비업체의 대다수가 수도권에 편중되어 지역불균형이 심각한 상태이다.
④ 경비분야에 있어서 유능한 연구인력과 경비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80. 민간조사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찰을 비롯한 형사사법기관의 업무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② 우리나라는 민간조사업무가 경비업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민간조사활동은 불법이다.
③ 사생활 침해 등 개인의 인권과 권익을 침해할 수 있다.
④ 의뢰인은 국가기관의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민간조사기관에 의뢰해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