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범죄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종합과학적 성격
② 규범학적 성격
③ 범죄원인 분석
④ 범죄를 사회현상으로 간주하는 지식체계
42. 젠더(gender)폭력이 아닌 것은?
① 성폭력
② 리벤지포르노(revenge porno)
③ 학교폭력
④ 데이트강간
43. 다음이 설명하는 법적 질서와 범죄에 대한 관점은?
| – 법이 범죄를 정의 – 불법행위에 대한 일반적 동의 – 법은 평등하게 적용 |
① 합의론적 관점
② 갈등론적 관점
③ 상호작용론적 관점
④ 비판론적 관점
44. 종단적 연구방법이 아닌 것은?
① 패널 연구
② 추세 연구
③ 코호트 연구
④ 실태 연구
45. 다음과 관련된 연구방법은?
| GIS(지리정보시스템) HotSpot(범죄다발구역) 범죄패턴분석 |
① 범죄지도
② 현장조사
③ 실험연구
④ 범죄피해조사
46. 다음의 공통점은?
| 범죄분석 사법연감 범죄백서 |
① 공식통계
② 범죄피해조사
③ 자기보고식조사
④ 패널조사
47. 경제적 환경과 범죄와의 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장기간의 실업은 범죄율의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
② 상대적 빈곤감이 범죄충동을 느끼게 할 수 있다.
③ 인플레이션은 생계형 범죄의 감소를 불러온다.
④ 불경기는 재산범죄의 증가에 영향을 준다.
48. 연령과 범죄율과의 관계를 연구한 학자를 모두 고른 것은?
| ㄱ. 그린버그 (Greenberg) ㄴ. 애그뉴 (Agnew) ㄷ. 로우와 티틀 (Rowe & Tittle) |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ㄱ, ㄴ, ㄷ
49. 갓프레드슨(Gottfredson)과 허쉬(Hirschi)의 범죄 일반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죄는 기회와 상관없이 각 개인의 낮은 자기통제력의 결과이다.
② 낮은 자기통제력은 어린 시절 가정의 비효과적인 사회화의 결과이다.
③ 자기통제력은 안정적이기 때문에 성인기 이후에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④ 모든 유형의 범죄의 원인을 설명하려고 한다.
50. 애그뉴(Agnew)의 일반긴장이론에서 좌절, 우울, 분노 등 부정적 감정을 일으켜서 긴장을 유발하는 원천이 아닌 것은?
① 목표달성의 실패
② 부정적 자극의 소멸
③ 긍정적 자극의 소멸
④ 기대와 성취 사이의 괴리
51. 다음을 주장한 학자는?
| – 범죄행위는 의사소통과정에 있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학습된다. – 범죄행위는 일반적 욕구와 가치의 표현이지만, 비범죄적 행위도 똑같은 욕구와 가치의 |
① 콜빈(Colvin)
② 뉴먼(Newman)
③ 서덜랜드(Sutherland)
④ 라웁(Laub)
52. 밀러(Miller)의 하층계급문화이론에서 주장한 초점적 관심(focal concerns)이 아닌 것은?
① 말썽부리기(trouble)
② 거침(toughness)
③ 교활(smartness)
④ 소통(communication)
53. 다음과 관련 있는 범죄이론은?
| – 개인적 권력, 집단 권력과 형법 제정의 관계 – 자본주의, 자유기업경제와 범죄율과의 관계 – 퀴니(Quinney), 챔블리스(Chambliss)가 대표 학자 |
① 억제이론
② 환경범죄학이론
③ 생활양식이론
④ 비판범죄론
54. 범죄를 미국 사회의 문화적이고 제도적인 영향의 결과로 바라 본 학자는?
① 에이커스(Akers)
② 메스너와 로젠펠드(Messner &Rosenfeld)
③ 볼비(Bowlby)
④ 애그뉴(Agnew)
55. 사회과정(미시적)이론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사회유대이론
② 사회학습이론
③ 낙인이론
④ 진화이론
56. 범죄성향의 유전성을 밝히기 위해 웨스트와 패링턴(West &Farrington)이 연구한 분야는?
① 부모자녀 사이의 유전성
② 형제자매 사이의 유전성
③ 쌍둥이 사이의 유전성
④ 입양아와 생물학적 아버지 사이의 유전성
57. 다음 범죄학자들의 공통된 이론은?
| 롬브로조 (Lombroso) 고링 (Goring) 셀던 (Sheldon) |
① 정치학적 원인론
② 생물학적 원인론
③ 사회학적 원인론
④ 심리학적 원인론
58. 다음이 설명하는 이론은?
| – 지역 주민들 상호간의 유대·신뢰 – 아이들의 생활에 개입하려는 의지 – 지역 주민들 간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대한 공유된 기대 |
① 일반긴장이론
② 차별기회이론
③ 집합효율성이론
④ 하위문화이론
59. 5가지 중화기법(neutralization)이 아닌 것은?
① 책임의 부정
② 손상(가해)의 부정
③ 처벌의 부정
④ 피해자의 부정
60. 낙인이론가별 주요 개념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베커(Becker) – 일차적 일탈과 이차적 일탈
② 에릭슨(Erickson) – 통제균형
③ 레머트(Lemert) – 도덕적 기업가
④ 탄넨바움(Tannenbaum) – 악의 극화
61. 다음과 관련 있는 범죄는?
| – 경미한 범행을 반족해서 자주 행하는 경우가 많고, 우발적으로 범죄를 행한다. – 은폐된 범죄성(masked criminality)을 가진다. 매춘·도박·기타 풍속범죄 등의 범죄 발생이 많다. |
① 암수범죄
② 여성범죄
③ 소년범죄
④ 지능범죄
62. 범죄유형과 특징의 연결로 옳은 것은?
① 조직범죄 – 조직원의 일시적 참여
② 환경범죄 – 범죄피해의 직접성
③ 조직범죄 – 위계적ㆍ계층적 특징
④ 환경범죄 – 범죄피해의 특정성
63. 형법상 재산범죄는?
① 절도
② 폭행
③ 추행
④ 살인
64. 우리나라 범죄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암수범죄를 포함한다.
② 검거율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③ 인구 10만명당 범죄발생건수를 나타낸다.
④ 중요 범죄의 발생상황을 시계로 표시한 것이다.
65. 황금의 삼각지대(golden triangle) 나라로 옳은 것은?
① 라오스 – 미얀마 – 태국
② 라오스 – 베트남 – 인도네시아
③ 중국 – 태국 – 인도네시아
④ 베트남 – 중국 – 미얀마
66. 그로스(Groth)의 폭력적 강간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분노 강간
② 스릴추구적 강간
③ 지배 강간
④ 가학성 변태성욕 강간
67.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 – 한 사건에서 1명 또는 여러 명의 가해자에게 4명 이상이 살해당하는 것 –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서 여러 명을 살해하는 것 |
① 연쇄살인(serial murder)
② 1급살인(first degree murder)
③ 대량살인(mass murder)
④ 2급살인(second degree murder)
68. 현행 소년법상 소년범의 형사처분 특례가 아닌 것은?
① 사형과 무기형의 완화
② 상대적 부정기형의 인정
③ 환형처분의 금지
④ 유해환경의 정화
69. 비범죄화와 전환제도(divers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낙인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② 구금의 비효과성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③ 수사상의 비범죄화도 가능하다.
④ 사회통제이론을 근거로 하고 있다.
70. 제프리(Jeffery)의 3가지 범죄예방대책모델 중 사회복귀모델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범죄인의 재사회화와 재범방지에 중점
② 교육과 직업훈련의 강화
③ 무력화를 통한 범죄예방
④ 현대 행형론의 주요한 모델
71. 무관용 정찰활동(Zero Tolerance Poli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깨진 유리창 이론에 근거한 경찰의 범죄통제전략이다.
② 경찰이 문제해결자 또는 사회봉사자라는 인식에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③ 비교적 사소한 질서문란 행위도 강력하게 단속하는 것이 핵심이다.
④ 향후 더 큰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72. 범죄피해자화의 단계 중 1차 피해자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범죄현장의 직접적인 피해를 말한다.
② 형사사법기관의 수사나 재판과정에서 받게 되는 피해를 말한다.
③ 주위사람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얻는 피해를 말한다.
④ 언론보도로 인해 명예가 실추되는 피해를 말한다.
73. 회복적 사법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역사회가 부담할 형사사법비용을 국가가 부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② 전통적인 구금처우정책이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는 반성에서 시작되었다.
③ 피해자와 지역사회에 대한 가해자의 적극적인 사과와 배상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④ 범죄자와 피해자간 조정제도는 당사자 간 화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74. 전자장치(전자발찌) 부착명령의 대상자가 아닌 것은?
① 성폭력범죄자
② 살인범죄자
③ 강도범죄자
④ 절도범죄자
75. 다음과 같은 수형자의 구금 및 수용제도는?
| – 마코노기(Machonochie)의 점수제 – 부정기형을 통합한 구금제도 – 브로크웨이(Brockway)가 소년초범자를 대상으로 실시 |
① 오번제 (Auburn system)
② 엘마이라제 (Elmira system)
③ 펜실베니아제 (Pennsylvania system)
④ 카티지제 (Cottage system)
76. 사회환경과 유사한 교정시절을 구비하여 제소자의 출소 후 원활한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교정처우모델은?
① 개선모델
② 의료모델
③ 재통합모델
④ 사법모델
77. 형벌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범죄피해를 회복하는 기능을 수행 ㄴ. 일반예방과 특별예방의 기능을 수행 ㄷ. 응보감정을 충족·완화하는 기능을 수행 ㄹ. 규범의식을 강화하고 형벌상한선을 설정해주는 기능을 수행 |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78.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는 마약류는?
① 아편
② 코카인
③ 메스암페타민
④ 양귀비
79. 화이트칼라범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행의 일회성
② 형사처벌의 어려움
③ 피해사실 인지의 어려움
④ 범죄자의 죄의식 결여
80. 사이버범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대면성
② 비익명성
③ 시ㆍ공간적 제약성
④ 범죄성의 인식 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