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시가를 지은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은?

펄펄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정답구나
외로울사 이 내 몸은
뉘와 더불어 돌아가랴
.
황조가 – 고구려 유리명왕

①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②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③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④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2. 밑줄 친 ‘유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풍기군수 주세붕은 고려시대 유학자( 안향 )의 고향인 경상도 순흥면 백운동에 회헌사(晦軒祠)를 세우고, 1543년에 교육시설을 더해서 백운동 서원을 건립하였다.

① 해주향약을 보급하였다.
② 원 간섭기에 성리학을 국내로 소개하였다.
③ 「성학십도」를 저술하여 경연에서 강의하였다.
④ 일본의 동정을 담은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다.

 

 

 

3.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919년 3월 1일 탑골 공원에서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한 독립선언서가 낭독되었다. 이 공원에 있는 탑은 왕(조선 세조)이 세운 것으로 경천사 10층 석탑의 영향을 받았다.

① 우리나라 전쟁사를 정리한 「동국병감」을 편찬하였다.
② 우리나라 역대 문장의 정수를 모은 「동문선」을 편찬하였다.
③ 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국왕 중심의 정치체제를 구축하였다.
④ 한양으로 다시 천도하면서 이궁인 창덕궁을 창건하였다.

 

 

 

4. (가)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가: 조광조 )이/가 올립니다. “지방의 경우에는 관찰사와 수령, 서울의 경우에는 홍문관과 육경(六卿), 그리고 대간(臺諫)들이 모두 능력 있는 사람을 천거하게 하십시오. 그 후 대궐에 모아 놓고 친히 여러 정책과 관련된 대책 시험을 치르게 한다면 인물을 많이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역대 선왕께서 하지 않으셨던 일어요, 한나라의 현량과와 방정과의 뜻을 이은 것입니다. 덕행은 여러 사람이 천거하는 바이므로 반드시 헛되거나 거릇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① 기묘사화로 탄압받았다.
②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었다.
③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을 지지하였다.
④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폐비하는 데 동조하였다.

 

 

 

5. 신석기시대 유적과 유물을 바르게 연결한 것 만을 모두 고르면?

ㄱ. 양양 오산리 유적 – 덧무늬토기
ㄴ. 서울 암사동 유적 – 빗살무늬토기
ㄷ. 공주 석장리 유적 – 미송리식토기
ㄹ. 부산 동삼동 유적 –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6. (가) 시기에 신라에서 있었던 사실은?

고구려의 침입으로 한성이 함락되자, 수도를 웅진으로 옮겼다. (문주왕, 475)

( 가 )

성왕은 사비로 도읍을 옮겼다. (538)

①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진흥왕, 562)
② 황초령순수비를 세웠다. (진흥왕, 568)
③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진흥왕, 545)
④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527)

 

 

 

7. 시기별 대외 교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백제: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경과 불상을 전하였다.
② 통일신라: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상권을 장악하였다.
③ 고려: 예성강 하구의 벽란도가 국제항으로 번성하였다.
④ 조선: 명과의 교류에서 중강개시와 책문후시가 전개되었다.

 

 

 

8. 우리나라 세계유산과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는 전축분인 6호분과 무령왕릉이 있다.
ㄴ. 양산 통도사는 금강계단 불사리탑이 있는 삼보 사찰이다.
ㄷ.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난했던 산성이다.
ㄹ. 『승정원일기』는 역대 왕의 훌륭한 언행을 『실록』에서 뽑아 만든 사서이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9. 다음은 발해 수도에 대한 답사 계획이다. 각 수도에 소재하는 유적에 대한 탐구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① ㉠, ㉡
② ㉠, ㉣
③ ㉡, ㉢
④ ㉢, ㉣

 

 

 

10. 다음 상소문을 올린 왕대에 있었던 사실은?

석교(釋敎)를 행하는 것은 수신(修身)의 근본이요, 유교를 행하는 것은 이국(理國)의 근원입니다. 수신은 내생의 자(資)요, 이국은 금일의 요무(要務)로서, 금일은 지극히 가깝고 내생은 지극히 먼 것인데도 가까움을 버리고 먼 것을 구함은 또한 잘못이 아니겠습니까.

① 양경과 12목에 상평창을 설치하였다. (고려, 성종)
② 균여를 귀법사 주지로 삼아 불교를 정비하였다.
③ 국자감에 7재를 두어 관학을 부흥하고자 하였다.
④ 전지(田地)와 시지(柴地)를 지급하는 경정 전시과를 실시하였다.

 

 

 

11. 이승만 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한미 원조 협정을 체결하였다.
② 농지개혁에 따른 지가증권을 발행하였다.
③ 제분, 제당, 면방직 등 삼백 산업을 적극 지원하였다.
④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다.

 

 

 

12. 중일전쟁 이후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민족 말살 정책이 아닌 것은?
① 아침마다 궁성요배를 강요하였다.
② 일본에 충성하자는 황국 신민 서사를 암송하게 하였다.
③ 공업 자원의 확보를 위하여 남면북양 정책을 시행하였다.
④ 황국 신민 의식을 강화하고자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13. 밑줄 친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05년 8월 4일 오후 3시, 우리가 앉아있는 곳은 새거모어 힐의 대기실. 루스벨트의 저택이다. 새거모어 힐은 루스벨트의 여름용 대통령 관저로 3층짜리 저택이다.

① 영사재판권이 인정되었다.
② 임오군란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③ 최혜국 대우 조항이 포함되었다.
④ 「조선책략」의 영향을 받았다.

 

 

 

14.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부호장 이하의 향리는 사심관의 감독을 받았다.
ㄴ. 상층 향리는 과거로 중앙 관직에 진출할 수 있었다.
ㄷ. 일부향리의 자제들은 기인으로 선발되어 개경으로 보내졌다.
ㄹ. 속현의 행정실무는 향리가 담당하였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ㄹ

 

 

 

15. 밑줄 친 ‘이 농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대개 이 농법(이앙법)을 귀중하게 여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두 땅의 힘으로 하나의 모를 서로 기르는 것이고, … (중략) … 옛 흙을 떠나 새 흙으로 가서 고갱이를 씻어 내어 더러운 것을 제거하는 것이다. 무릇 벼를 심는 온에는 물을 끌어들일 수 있는 하천이나 물을 댈 수 있는 저수지가 꼭 필요하다. 이러한 것이 없다면 볏논이 아니다.
– 『임원경제지』 –
ㄱ. 세종 때 편찬된 『농사직설』에도 등장한다.
ㄴ. 고랑에 작물을 심도록 하였다.
ㄷ. 『경국대전』의 수령칠사 항목에서도 강조되었다.
ㄹ. 직파법보다 풀 뽑는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었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16. 밑줄 친 ‘헌법’이 시행 중인 시기에 일어난 사건은?

헌법(유신헌법)은 한 사람의 집권자가 긴급조치라는 형식적인 법 절차와 권력 남용으로 양보할 수 없는 국민의 기본 인권과 존엄성을 억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권력 남용에 형식적인 합법성을 부여하고자 … (중략) … 입법, 사법, 행정 3권을 한 사람의 집권자에게 집중시키고 있다.

① 부‧마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② 국민교육헌장을 선포하였다.
③ 7‧4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되었다.
④ 한일 협정 체결을 반대하는 6‧3 시위가 있었다.

 

 

 

17. 밑줄 친 ‘회의’에서 있었던 사실은?

회의(국민대표회의 선언문, 1923)는 2천만 민중의 공정한 뜻에 바탕을 둔 국민적 대화합으로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국민의 완전한 통일을 공고하게 하며, 광복 대업의 근본 방침을 수립하여 우리 민족의 자유를 만회하며 독립을 완성하기를 기도하고 이에 선언하노라. … (중략) … 본 대표 등은 국민이 위탁한 사명을 받들어 국민적 대단결에 힘쓰며 독립운동이 나아갈 방향을 확립하여 통일적 기관 아래에서 대업을 완성하고자 하노라.

① 대한민국 건국 강령이 상정되었다.
② 박은식이 임시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③ 민족유일당운동 차원에서 조선혁명당이 참가하였다.
④ 임시정부를 대체할 새로운 조직을 만들자는 주장이 나왔다.

 

 

 

18. 다음 법령에 따라 시행된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1조 – 토지의 조사 및 측량은 본령에 따른다.
제4조 – 토지 소유자는 조선 총독이 정한 기간 내에 주소, 성명 또는 명칭 및 소유지의 소재, 지목, 자 번호, 사표, 등급, 지적, 결수를 임시토지조사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단 국유지는 보관 관청이 임시토지 조사국장에게 통지해야 한다.

① 농상공부를 주무 기관으로 하였다.
② 역둔토, 궁장토를 총독부 소유로 만들었다. (토지조사령, 1912)
③ 토지약탈을 위해 동양척식회사를 설립하였다.
④ 춘궁 퇴치, 농가 부채 근절을 목표로 내세웠다.

 

 

 

19. 개항기 무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항장에서 조선인 객주가 중개 활동을 하였다.
② 조ㆍ청 무역장정으로 청국에서의 수입액이 일본을 앞질렀다.
③ 일본 상인은 면제품을 팔고, 쇠가죽ㆍ쌀ㆍ콩 등을 구입하였다.
④ 조ㆍ일 통상장정의 개정으로 곡물 수출이 금지되기도 하였다.

 

 

 

20.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군역에 뽑힌 장정에게 군포를 거두었는데, 그 폐단이 많아서 백성들이 뼈를 깍는 원한을 가졌다. 그런데 사족들은 한평생 한가하게 놀며 신역(身役)이 없었다. … (중략) … 그러나 유속(流俗)에 끌려 이행되지 못하였으나 갑자년 초에 (흥선대원군)가 강력히 나서서 귀천이  동일하게 장정 한 사람마다 세납전(歲納錢) 2민(緡)을 바치게 하니, 이를 동포전(洞布錢)이라고 하였다.
– 『매천야록』 –

① 만동묘 건립을 주도하였다.
② 군국기무처 총재를 역임하였다.
③ 통리기무아문을 폐지하고 5군영을 부활하였다.
④ 탕평 정치를 정리한 「만기요람」을 편찬하였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