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네트의 인정의 사회 이론 – 인정과 사회적 자유 개념의 연관을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
Honneth’s Social Theory of Recognition: A Perspective on the Connection between Recognition and Social Freedom
이 논문의 목적은 호네트의 인정과 사회적 자유 개념의 연관을 해석하기 위한 하나의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두 개념은 각각 「인정투쟁」 과 「자유의 권리」에서 주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두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연구자들로부터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나는 이 논문에서 호네트의 전체 철학 기획을 인정의 사회 이론의 구축으로 규정하고, 호네트의 인터뷰에 기초하여 두 개념은 이러한 인정의 사회 이론을 떠받치고 있는 핵심 적인 두 기둥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두 개념은 각각 참여자 관점에 기초한 사회에 대한 행위 이론적 논의(인정)와 관찰자 관점에 기초한 사회 질서 이론적 논의(사회적 자유)를 위해 분석적 차원에서 구분되는 것일 뿐, 실질적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접근 방식 이 설득력이 있다면, 두 개념 사이의 관계를 단절이나 성층화된 것으로 해석 하는 것은 적어도 호네트의 본래 의도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perspective for interpre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at the heart of Axel Honneth’s critical theory: Recognition and Social freedom. The two concepts play an important role in Kampf um Anerkennung and Das Recht der Freiheit, but many researchers have questioned their relevance. In this paper, I therefore characterize Honneth’s entire philosophical project as the construction of ‘a social theory of recognition’ and, based on his interviews, interpret these concepts as central pillars of his theory.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se concepts are merely analytically separated in terms of theory of action(Recognition) as perspective of participant and theory of social order(Social freedom) as perspective of observer, respectively, but not substantively. If my interpretation is persuasive, then at leas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s as a discontinuity or stratification is not identical with Honneth’s original intention.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서울시립대학교 조수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