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격의 역동성은?
– 성격구조 간의 갈등을 통해 정신에너지가 어떻게 분배되고 활용되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 사용 가능한 양의 정신에너지가 성격구조에 어떠한 비율로 배분되는가에 따라 각 개인의 성격과 행동특성이 결정된다
예) 회사에서 사장 옆에서 일을 하는데 게임이 하고 싶다? 하지만 게임은 하지 못하게 스스로 억제를 한다.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소망과 욕구를 통제하라는 압력 간의 갈등이다.
자아가 욕구로 인해 발생하는 내적 갈등을 처리하는 방식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초기환경: 부모)
양육자는 특정한 좌절을 주며, 욕구를 만족시키는 방식을 제지하고 다른 방식을 촉진시킴으로써 갈등을 다루는 방법을 제시한다.
-> 자아가 내적 갈등을 해소하여 심리적 안정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들 간의 차이에서 성격 특성이 나타난다
• 불안이란?
– 명확한 원인이나 대상 없이 느끼는 두려움과 관련된 불쾌한 정서로 자아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고신호이다
–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 내적 갈등이 심하여 자아의 중재 능력을 넘어설 불안이 발생한다
– 불안으로 인해 자아가 손상(파괴)되면 내적 갈등이 중재 되지 못해 이상행동 발생한다
• 불안의 종류는?
1) 현실 불안(reality anxiety)
– 자아가 현실을 지각하여 두려움을 느낄 때 발생하는 불안이다
– 실제 외부 세계에서 받는 위협의 정도에 비례하여 불안이 발생한다
2) 신경증적 불안(neurotic anxiety)
– 실제적으로는 불안을 느낄 만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다
– 자아가 원초아를 통제할 수 없어서 결국은 처벌 받을 만한 행동을 해버릴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느낄 때 발생하는 불안이다
–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원초아의 힘에 의해 자아가 붕괴될 수도 있음을 자아에게 알리는 신호이다
3) 도덕적 불안(moral anxiety)
– 자아가 초자아로부터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 의해 발생하는 불안하다
– 초자아의 원칙과 규범에 위배되는 원초아의 충동을 표현하도록 동기화하면 자아는 수치심과 죄의식을 느낌이다
–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도덕적 기준에 위배되었을 때 느끼는 불안하다
불안과 자기방어 기제
• 자아방어기제: 불안을 자아가 이성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통제할 수 없을 때, 자아가 붕괴되지 않도록 보호하고자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사고 및 행동 전략이다
• 자아의 기능, 개인의 성격을 결정짓는 핵심 기제이다
• 인간은 불안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회피하기 위해 방어적이 된다
• 자아에게 위협이 되는 욕구나 감정, 생각 등을 억압하고자 시도하는 무의식적인 기제이다
• 내부/외부의 현실을 부정하고 왜곡하여 고통스러운 감정과 갈등을 감소시킨다
• 불안에서 인간을 보호한다는 의미에서는 유용한 측면이 존재한다
• 현실직면을 회피하기 위해 방어기제에 의존하거나 습관적으로 사용할 경우 병리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 방어기제의 종류는?
정신병적 기제 : 5세 이전 (외부현실에 대한)부정, 왜곡, 망상 등이 있다
미성숙한 기제 :3세~15세 행동화, 투사, 수동-공격, 분리, 공상, 전능, 부인 등이 있다
신경증적 기제 : 3세~성인 억압, 반동형성, 철수, 취소, 체념, 격리, 주지화 등이 있다
성숙한 기제 : 12세~ 성인 승화, 이타주의, 유머, 억제, 예견 등이 있다
2개의 댓글
Howdy, i read your blog occasionally and i own a similar one and i was just wondering if you get a lot of spam responses? If so how do you prevent it, any plugin or anything you can advise? I get so much lately it’s driving me mad so any help is very much appreciated.
Greetings! Very helpful advice on this article! It is the little changes that make the biggest changes. Thanks a lot for 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