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아퀴나스의 순종적 가능태 개념 -해당 텍스트와 전(前)역사를 중심으로-
The potentia obedientialis in the Texts of St. Thomas and His Predecessors
조동원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철학
2021, vol., no.37, pp. 169-198 (30 pages)
한국가톨릭철학회
1. 서론
2. 순종적 가능태 개념: 성 토마스 이전까지의 흐름
__2.1. 아우구스티누스
__2.2. 기욤 도세르와 대법관 필립
__2.3. 알베르투스 마뉴스
3.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작 안에 나타나는 순종적 가능태 개념
__3.1. 육화의 이유에 대한 논쟁의 맥락에서
__3.2. 초자연적 주입덕에 대한 인간의 수용능력
__3.3. 인간 본성과 “특수한” 순종적 가능태
4. 결론
초록
토마스 아퀴나스의 “순종적 가능태”(potentia obedientialis) 개념의 의미와 본질에 대해 역사적으로 많은 논쟁이 있어 왔다.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와 논의들은 토마스의 텍스트 및 그에 대한 후대 학자들의 해석에 치중을 하였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토마스 자신도 순종적 가능태 개념을 선대 학자들로부터 물려받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토마스의 텍스트와 더불어 그 전역사(前歷史)를 심도있게 고찰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느님의 특별한 작용 방식과, 피조물이 그 특별한 신적 힘에 순응하는 내적 경향성에 대해 말했는데, 12-13세기 학자들은 아우구스티누스의 해당 본문을 주석하며 순종적 가능태라는 명시적 개념을 도출해냈다. 이때 하느님의 특별한 작용은 일차적으로 물리적 기적을 지칭하지만, 또 한편으로 죄인의 구원과 인간의 지복직관과 같은 영적 실재를 가리키기도 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스콜라 학자들의 통찰 및 개념화를 계승하고 이를 더 정밀하게 가다듬어 다양한 맥락에서, 특히 육화나 초자연적 주입덕과 같은 구원론적 실재와 관련하여 순종적 가능태 개념을 원용한다. 전통적 토마스 주석가들은 이를 토대로 일반적 의미에서의 순종적 가능태와 “특수한” 순종적 가능태를 구분하며, 후자를 인간을 비롯한 지성적 피조물 안에 내재된 ‘초본성적’ 가능성과 연결 짓는다. 20세기 들어와 드 뤼박과 몇몇 학자들에 의해 전통적 주석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었지만, 토마스와 그 이전 학자들의 텍스트에 대한 미시적 분석만 놓고 본다면 전통적 토마스 주석가들의 입장이 더 ‘스승들’의 가르침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된다.
The idea of potentia obedientialis in the texts of St. Thomas Aquinas has been severely argued by many scholars. While the majority of the works on the concept have addressed St. Thomas’s texts mainly with the later interpretations, the present research sees the beginning of all things, i.e., the texts of the Angelic Doctor and their pre-history.
St. Augustine says in his de Genesi ad litteram that there is some inner tendency in every creature according to which it obeys every special divine operation. Commenting the texts of the bishop of Hippo, some Medieval authors begin to use the explicit concept of obediential potency, which not only indicates the special divine act on creatures in physical miracles but also entails spiritual realities such as salvation or the beatific vision.
Inheriting from his predecessors the idea potentia obedientialis, St. Thomas uses it in various contexts, especially in explaining ratio incarnationis and supernatual infused virtues. Upon those texts of the Angelic Doctor, some scholars in the Thomistic tradition have developed the distinction of “specific” obediential potency from its generic sense, relating the former with the supernatural possibility inherent in the human being and other intellectual creatures. Although De Lubac and other scholars in the 20th century raised an objection, the original texts of St. Thomas and his predecessors seem to show that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is more loyal to the teaching of the magister than that of “modern” suggestion.